'스스로 자정(自淨) 안 되면 감독기관이 나서야 되는거 아니냐'는 의견 대두

 

▲2010년 9월 광운대학생들은 조무성 비리 구 재단 복귀를 반대하는 8000 광운인 발족식 및 운동 선포식을 갖고 조무성 전 이사장의 복귀를 반대를 격렬히 펼쳤으나 사학분쟁조정위원회는 조무성 이사장을 복귀시켰다. 결국 조무성 이사장은 복귀 3년만인 2014년에 비리혐의로 기소돼 오는 15일 공판을 기다리고 있다.

[U's Line 김재원 기자] 캠퍼스 공사·교원채용서 뒷돈을 받은 혐의로 기소된 조무성 前 광운대 이사장이 징역3년에 추징금 1억9천만 원, 조무성 전 이사장의 부인 이 모씨는 징역3년에 추징금1억2천만원의 검찰 구형이 나온 가운데 오는 5월 15일에 공판을 앞두고 광운대 교수·학생들은 공판결과가 미칠 학교의 전망에 술렁이고 있다.

지난 28일 검찰구형이 떨어진 직후 광운대 일부 교수들은 조무성 전 이사장의 구형량을 놓고 왈가왈부하기 시작했다. “구형량이 예상보다 높게 나왔다”는 측과 “검찰이 혐의 입증자료를 충분히 확보했다는 의미”라고 해석하는 측으로 나눠져 결심공판의 양형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선고일 10일 정도 앞두고 조무성 전 이사장의 양형에 대해 학교 내에서 추측이 난무하다. 징역에다 추징금이 함께 구형되면 실형을 받을 확률이 높다는 의견, 검찰 구형량이 예상보다 높은 것은 기소된 이후 4개월이나 흘러 검찰의 실형 혐의 입증자료가 충분하다는 반증이라는 의견 등등으로 시끌벅적하다.

한편, 구형량 이외에도 광운대 교수·학생 사회가 의견이 분분한 또 다른 주제가 있다. 바로 교육부의 역할이다. A교수는 “죄를 졌으면 벌을 받도록 하는 것은 분명 검찰 소관이지만 교육부는 대학의 관리·감독 상위기관 입장에서 지난해 12월에 대학 이사장이 비리혐의로 기소가 된 이후 4개월이 지나도 감사나 조사를 전혀 하지 않는 것은 결코 이해할 수 없는 대목”이라고 의아해 했다.

또한 이 대학의 B교수는 “검찰이 이제 구형을 했고, 공판을 앞두고 있기 때문에 재판이 끝나면 교육부도 후속조치를 하지 않겠느냐”는 의견과 C교수는 “교육부에서 나설 사건이 아니고 단순한 개인신상의 사건이기 때문에 안 나서는 것일 뿐”이라고 주장하고 나서는 등 설왕설래하고 있다.

한편, 국문학과 재학생인 김민희 씨(가명·23)는 “대학이라는 교육기관의 이사장 자리는 일반인보다 더 엄격한 도덕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그럼에도 2011년 다시 복귀해서 비리혐의로 기소를 당한 학교법인 이사장을 옹호하면서 탄원서 작성을 주도한 교수가 있다는 보도를 보고 아연실색할 수밖에 없었다”며 "이렇게 혼란한 상황에서 교육부는 뭘 하는 기관인지 알 수가 없다"고 비난했다.

미디어영상부 최현숙 씨(가명·21)도 “돈이 대학의 전부는 아니라는 것을 최근 C대학을 보면서 크게 느끼고 있다”며 “광운대가 비록 작지만 알차고, 민주적이고, 도덕적이고, 실력 있는 학생을 배출하는 대학 이미지가 우리 대학의 평판도였으면 좋겠다”고 말하면서 최근 벌어진 이사장의 비리혐의는 학교를 교육기관이 아닌 사욕의 대상으로 봤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