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제 공립대 졸업자 절반…평균 2만2000弗 빚더미

세계 최고수준의 교육수준을 과시했던 미국이 비싼 등록금을 내기 위한 대출금 부담과 대학 졸업장으로도 취업을 하기가 어려워지자 대학진학 기피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상황의 정도는 미래 국가경쟁력까지 위협받을 수 있다는 게전문가들의 지적이다.

25~34세 미국인의 학사학위(2년제 포함) 취득비율이 세계 최고 수준이었던 것은 30년 전 옛날 얘기다.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미국은 더 이상 번영을 구가할 수 없게 될 것이라는 경고도 나온다.

▶ ‘대학 나와야 잘산다’ 이젠 안 통한다=월스트리트저널(WSJ)은 26일(현지시간) 하버드대 클로디아 골딘 교수와 로런스 캇즈 교수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미국 내 학력상승 둔화의 영향이 고용시장에 광범위하게 미치고, 장기적으로 국가 경쟁력을 훼손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골딘 교수 등은 1876년부터 최근까지 미국인들의 교육기간을 추적한 결과 1955년에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가 30세였을 때는 부모보다 2년 더 교육받았지만, 1980년생이 30세가 됐을 때는 불과 8개월 더 교육받는 걸로 집계했다.

교육기간 감소는 젊은 층의 일자리와 수입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걸로 나타났다. 올 3월 기준으로 고졸자의 실업률은 8%에 달해 대졸자(4.2%)의 배였다. 학사학위 취득자의 평균소득은 고졸자보다 45%나 많았다.

젊은 층이 일부러 덜 배우려는 건 아니다. 캘리포니아에 사는 매리 브라운(25ㆍ여)은 대학 졸업장을 받고도 취직이 안 돼 고생하는 친구들을 보고 지역 전문대에서 마사지치료사 자격증을 따는 ‘우회로’를 택했다. 그는 “일하는 법을 가르치는 대학을 찾았지만, 내가 원하는 경력과 상관없는 수업을 큰돈 내고 들으라는 곳뿐이었다”고 대학 포기 이유를 설명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미국의 25~34세가 학사학위를 딴 비율<그래픽 참조>은 40%대 초반으로, 55~64세와 엇비슷하다. 한국 젊은 층의 학위 취득 비율이 60~70%가량인 것과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골딘 교수는 “국가의 부는 지하자원이나 물적자본이 아니라 인적자본에 달렸다”며 미국의 현상을 우려했다.

▶오바마 “대졸자를 늘리겠다” 선언했지만…=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상황의 심각성을 모를 리 없다. 그는 최근 “2020년까지 미국은 다시 한 번 세계에서 대학 졸업자 비율이 가장 많은 나라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현실은 간단치 않다. 미 대학협의회에 따르면 4년제 공립대 졸업자 가운데 55%는 평균 2만2000달러의 빚을 지고 있다. 이 같은 학생 부채의 총액은 2009~2010년 미국인의 신용카드 빚 총액을 넘어서고 있다. 연방정부가 각종 지원책을 내놓고 있지만 혜택을 받기까지의 과정이 너무 복잡하다는 비판도 나온다.

고교를 중퇴한 뒤 아르바이트로 시간당 12달러를 벌고 있는알렉스 가비치(21)는 “나중에 조경사업을 할 것”이라며 “대학 다니면서 빚을 지고, 취직해서는 그걸 갚으려고 20년간 일해야 하는 현실을 전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