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집중교육과 학교 적응 지원으로 공교육 진입 확대
지자체와 유관기관 협력한 모델, 한국어교육, 문화예술프로그램 운영
임 교육감 “다문화학생 한국사회 적응하고 언어 익히며 꿈 펼치게 힘 모아”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14일 오후 동두천시 보산초등학교를 방문해 다문화어린이들 수업을 지켜보고 있다 .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14일 오후 동두천시 보산초등학교를 방문해 다문화어린이들 수업을 지켜보고 있다 .

[U's Line 유스라인 문유숙 기자]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다문화학생의 한국어 집중교육과 학교적응 지원으로 공교육 진입을 확대하기 위해 동두천한국어공유학교를 운영한다.

경기 한국어공유학교는 다문화학생을 지원하는 지역협력모델로 지난 10월 개교한 안산에 이어 북부권역에서 다문화학생이 가장 많은 동두천에서 운영을 시작한다.

동두천한국어공유학교는 동두천시와 유관기관이 협력한 모델이라는 데 그 의미가 크다.

도교육청과 동두천양주교육지원청은 한국어공유학교 운영 지원, 동두천시는 송내행정복지센터 제공, 유관기관 예원예술대학교는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특히 예원예술대의 특징을 살린 다양한 문화예술교육과 방과후학교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동두천공유학교는 한국어 집중교육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 이중언어교육 문화예술교육 체험 심리정서교육으로 다문화학생 성장을 돕는 단기형(60) 프로그램으로 운영한다.

이날 오후 동두천한국어공유학교 개교식에는 동두천시장, 도의원, 시의회의장, 예원예술대 관계자, 관내 교장, 학생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보산초 학생들의 축하공연을 시작으로 다문화교육을 바라보는 학생, 학부모, 시민들의 축하 메시지가 이어졌다.

이 자리에서 임태희 교육감은 동두천시장님이 다문화학생을 위해 행정복지센터를 개방해 주셨고, 예원예술대학교에서 예술프로그램을 제공해 새로운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으로 결합했다고 말했다.

이어 "다문화학생에게 가장 필요한 한국어공유학교 운영을 응원하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임 교육감은 "중도입국학생들이 사회적 관계 속에서 나는 어떤 사람인지 정체성을 찾는 시기가 오는 데, 문화적 차이로 어려움이 생길 때 교육을 통해 채워 나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한국어공유학교가 다문화학생의 어려움을 도와주는 학교로 자리 잡고, 학생들이 한국사회에 적응하고 필요한 언어도 충분히 익히며 꿈을 펼칠 수 있도록 함께 힘을 모아보자고 당부했다.

이어 임교육감은 북부권역 다문화 밀집학교 보산초를 방문해 다문화학생 방과후학교 수업을 참관하고, 교직원들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
 

현황 및 필요성

매년 급감하는 학령기 학생 대비 유일하게 다문화가정 학생이 지속 증가 경기도가 전           국 에서 다문화가정학생 비율이 가장 높음

 -  전국 다문화학생의 29.2%(48,966)가 경기도 거주

 -  동두천 다문화학생은 동두천 일반학생 대비 5.54% 비율

·취학 전 한국어 의사소통 불가로 기초학력 저하, 학습 부적응, 심리 불안에 따른 공      교육 진입 곤란 해소하기 위한 지역연계협력 모델

 동두천한국어학교 운영()

(의의) 지역연계협력 모델로 운영되는 한국어공유학교 시범 모델

(개요) 지역 기반 다문화가정 학생 입·취학 전 한국어 집중교육 실시

(시설) 동두천 송내주민센터 이용

(운영) 동두천양주교육지원청이 예원예술대학교에 민간 위탁하여 진행

(근거) 다문화가족지원법 제101, 2, 재한외국인처우개선 제6

초중등교육법 28, 시행령 제54, 다문화교육진흥조례 4

(대상) ·취학전 한국어 의사소통 불가 학생 대상

(절차) 원적교 한국어 집중 교육 위탁 신청→학부모 동의 후 한국어교실 입학

(내용) 기초교과(언어 기반의 기초교과), 언어교과, 심리정서지원 위한 문화예술교육

(기간) 2개월(60)

(복귀) KSL 평가 이수 후 기준 수준 이상일 경우(4단계 이상) 원적교 복귀

(운영 주체) 경기도교육청, 지역교육청, 지자체
   - (지자체) 시설, 통학 지원 (경기도교육청) 예산 및 프로그램 지원, (교육지원청) 관       리 및 지원

 기대 효과

ㅇ 다문화가정학생 한국어 구사 능력 신장으로 공교육 진입 확대
ㅇ 지역 맞춤형 지원을 통한 지역 교육 분야 만족도 증대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