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소재 A교수 “지역대학 포기한 듯한 교육부, 제대로 토론해보자”
국내 다수 언론 글로컬대학 검증역할 방기...“맞짱토론 하면 이것은 보도하겠지”
지역대학들 "돈으로 안 되는 게 출산인데 이주호가 애들을 낳아준답니까?"

지난 4월 19일 국회소통관에서 7곳 교수단체 연대인 교수연대회의는 윤석열 정부의 고등교육정책의 시장주의화와 글로컬대학사업을 철회하라는 기자회견을 가졌다. 현재 교수연대회의는 철회를 지지하는 1만명 교수서명을 펼쳐나가고 있다.
지난 4월 19일 국회소통관에서 7곳 교수단체 연대인 교수연대회의는 윤석열 정부의 고등교육정책의 시장주의화와 글로컬대학사업을 철회하라는 기자회견을 가졌다. 현재 교수연대회의는 철회를 지지하는 1만명 교수서명을 펼쳐나가고 있다.

전북 A교수 "1000억원을 30곳 말고 100억원씩 300곳에 지원하자고요"

[U's Line 유스라인 박병수 기자] '글로컬대학은 비수도권대학 살생부 노릇을 할 것이라는 대학사회의 끊임없는 지적에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줄곧 서양속담에 밀물은 모든 배를 끌어올린다란 말이 있다. 글로컬대학은 지방대 생존·발전을 위한 선도모델을 만드는 프로젝트이지 결코 살생부가 아니다."라고 반박한다. 이 같은 반박은 한 두 번이 아니다.

따라서 결론부터 말하면 한국 대학사회 교수집단교육부 인재정책실 관계자들과 글로컬대학의 기능에 대해 (120)토론을 제안한다. 이주호 장관이 토론에 함께 한다면 이 또한 환영한다. 이를 유튜브 중계해도 좋다.

(120)토론을 본지가 제안하게 된 첫 번째 배경은 7일 오전 본인은 유스라인 애독자이며 전북소재 대학 A교수라고 신분을 밝히면서 글로컬대학에 지정되면 한 대학에 1000억원이 지원된다고 하는데, 지방대에 200억원씩만 지원해줘도, 아니 100억원씩만 해줘도 교육부가 말하는 글로컬대학, 그런 수준까지 끌어 올릴 수 있다. 1000억원을 30곳 대학에 나눠 줄 것이 아니고, 100억원 씩 300곳 대학에 나눠주는 것이 지역대학을 살려 지역소멸을 막고, 지역균형을 이루는 빠른 길이라고 제기했다.

그러면서 A교수는 글로컬대학 사업을 관장하는 교육부 인재정책실 관계자들과 현재 교육부가 추진하는 글로컬대학에 반대하는 대학교수들이 열띤 토론을 해서 교수들이 주장하는 내용이 전적으로 옳다고 하지 않겠지만, 그래도 옳은 부분이 있다면 반드시 반영을 해주길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고 호소했다.

왜 살생부 인지, 비수도권 대학서열화 인지 관심없는 언론 직무유기 고발 

본지 U's Line이 토론을 제안하는 두 번째 배경은 국내 다수의 언론들이 교육부장관이 인용하는 밀물은 모든 배를 끌어올린다는 속담을 내걸며 글로컬대학의 순기능을 강조하는 보도만을 잇따라 하면서 사실을 정확히 알려지지 않고, 왜곡되는 일이 다반사로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대학사회에서 왜 살생부라 하는 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질의나 취재를 하지 않는다. A경제신문도 67일자로 이주호 "글로컬대학, 살생부 아니다전체 지방대 생존에 기여라는 교육부 주장을 일방적으로 보도하다시피 한 기사를 올렸다. 이들 매체들의 책임감은 여기까지다. 기사마감이 책임의 전부일 뿐이다.

글로컬대학 살생부여부 논란을 서둘러 종지부를 찍어야야만 한다. 그래야 글로컬대학 폐단의 구렁텅이로 빠지기 전 손목아라도 잡아끌어 올려야 한다. ‘글로컬대학사업이 비수도권대학의 살생부로 작용할 것이라는데 정곡을 찌르는 증거가 있다. 그것은 바로 글로컬대학에 신청서를 낸 대학 47곳에 지난달 23~25일 무작위로 설문을 시도하면서 대학 관계자들로부터 나온 '자포자기성 분노'였다.

"교육부장관 이주호가 애를 낳아준답니까?

이들에게서 흘러나오는 답변은 충격적이었다. “글로컬대학 사업에 신청서를 내려는 대학에 물어보면 알겠지만, 지방대는 이대로 가면 국립대 몇 곳, 오래된 지역사립대 몇 곳만이 남을 수 밖에 없는 구조다. 지원금이 단군이래 최고라 하고, 우선은 대학이 살아야 하니까 신청해보는 거다. 그러나저러나 돈으로도 어떻게 할 수 없는 게 학령인구, 아이들이 모자라서 이 난리인데, 교육부장관 이주호가 애를 낳아준답니까? 낳더라도 한, 20만 명은 낳아줘야 하는데

설문한 대학 중에는 新비수도권대학서열화를 조장할지, 살생부가 될지, 아닐지는 정확히 예상은 못 하겠지만 교육부 양반들이 지방에 내려와서 지방대, 고등학교, 특히 전문대를 다녀보면 실감을 할 거라 본다.”며 더 이상 설문에 응하지 않았다.

또 다른 대학 관계자는 교육부장관이 자주 하는 말 중에 글로컬대학은 지방대 생존과 발전을 위해 필요한 선도모델을 만드는 사업이라고 하지만 선도모델이 언제나 만들어지냐고? 지방대들은 당장이라도 쓰러질 판인데... 설령, 선도대학이 만들어진다해도 뭔 재정이 밑받침 돼야 따라하지 뭐 갖고 선도대학을 따라하냐고?”라며 격앙댔다.

비하인드 스토리가 하나 있다. 지역거점국립대 관계자가 이번 글로컬대학사업에는 지역거점국립대들은 최종지정에서 빠지고, 많은 지역대학들에게 3조 원 예산을 학교 사이즈별로 배분해서 돌아가도록 하면 어떻겠냐?는 제안성 질문을 공식회의에서 꺼냈다가 교육부 ○○○로부터 지역거점대학들은 배가 부른 것 같다며 목청을 높이고선 그 건 절대 안 된다고 했다는 말이 들려왔다. 잠시 생각을 해봤다. 그 제안에 왜 교육부는 절대 안 된다고 했을까.

학교들 폐교 후에 선도모델 나오나? 선도모델 나오면 뭐해 재정 있어야지?

지역거점국립대가 아니면 1000억 원을 지원 받아도 선도대학이 될 수 없다고 판단하는 것인가. 아니면, 지역거점국립대가 빠지면 사업이 격하돼 보인다거나 흥행이 안 돼 보일까 그랬던 것일까. 어쨌든, 그 속은 정확히 모르겠지만 분명한 것은 글로컬대학사업이 백척간두의 지역대학을 살리고, 소멸되는 지역도 함께 되살려보자는 취지는 아니었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글로컬대학 사업을 여러 지역대학에 긴급수혈성 지원을 해주자는 지역거점국립대 관계자의 속깊은 제안을 박절하게 걷어찬 교육부 태도에서 자립형사립고, 일제고사 등 엘리트위주 교육으로 일관했던 MB정부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이 행한 내용과 닮은 꼴이라는 느낌이 강하게 들었다.        

이주호 교육부장관이 글로컬대학은 살생부가 아니라 선도모델을 만드는 프로젝트라 주장하는 내용을 작금의 한국 대학사회 현실에서는 이런 해석이 더 빠르다. "누구를 죽이라는 명령의 직접적인 살생부는 아니지만, 그냥 놔두면 누가 죽는 줄 알면서도 살리지 않았다면 그 또한 살생부 냄새가 진하게 나지 않는가.  지금 교육부는  5~6인실은 됐고, 병동VIP병동만 잘 케어하면 된다는 논리와 크게 다르지 않다.

어쨌든, 교육부가 서둘러 글로컬대학 토론에 응하겠다는 빠른 연락을 주기 바란다.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