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명예교수 “반도체社, 그간 엄청난 수익에도 인력인프라 무관심”
김 소장 “정부, 반도체로 대학정체성 왜곡은 국가적 손실”
C대·B대 삼성·SK에 계약학과 제의거절 사실이라면, 기업, 필요인재 수급정책 밝혀야

[U's Line 유스라인 박병수 기자] 반도체 인재양성의 직접적인 혜택 당사자인 (반도체)기업들의 자발적 참여도는 크게 떨어지면서 대학에 요구하는 반도체 인재 눈높이는 현실성이 없을 정도로 높아 실제 수혜자가 기업인데도 갑의 위치에 있는 것과 같이 주객전도(主客顚倒) 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는 우리나라가 70년대 말, 80년대부터 반도체에 투자해서 소위 '대박'을 터뜨렸다. 그렇게 반도체 산업계가 엄청난 수익을 올렸다. 반도체 기업들이 오늘의 인력부족을 예상하고, 대학교육이나 인프라 확장을 위해 투자했다는 이야기를 들어 본 적이 없다"고 언급했다.

이를 두고 김인환 U’s Line(유스라인) 미래교육정책연구소장은 반도체 인력부족을 해결해야 하는 당사자는 반도체 기업인데 이들이 기껏 한 것은 대학과의 계약학과를 통해 자신들만의 인재를 빼 간 아전인수(我田引水)식 인력양성이라며 최근 벌어지고 있는 인력부족도 반도체 기업들이 오래 전에 시장전망을 제대로 해왔다면 얼마든지 해결할 수 있었는데, 시장전망에 자신이 없으니 정부에 요구도, 자체 인력양산 체제도 못갖췄던 이유가 가장 크다고 지적했다.

반도체 계약학과라는 제도도 기업입장에서 고려된 방식이라는 지적이다. 반도체 적합한 인력은 반도체학과만을 나와야 하는 것이 아니다라는 지적이 잇따른다.

이덕환 명예교수는 반도체 산업은 모든 기초과학과 공학분야가 총망라된 대표적인 융합분야이다. 반도체 산업현장 인력이 모두 대학에서 반도체학을 공부해야만 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더 나은 반도체 원천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물리학화학 등의 기초과학 전공자도 필요하다. 반도체를 가공생산하는 일에 필요한 수많은 소재와 기술을 개발하는 일에는 재료공학기계공학, 심지어 문학역사철학 전공한 문송이도 필요하고, 문화예술 전문가도 필요하다. 4차 산업혁명을 통해서 구현하려는 미래사회 조망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교육부가 반도체 인력양성을 교육의 최우선 과제로 삼고, 계약학과 확대의 과도한 강조는 대학 전체, 한국 미래에 이롭지 않은 일이라고 지적했다.

교육부가 발표한 반도체 인재양성 대책 가운데 계약학과 확대, 계약정원제 신설을 통해 대학정원을 늘리는 방안이 일부 상위권 대학에 집중될 거란 우려와 인재영입하려는 기업들이 상위권 대학만을 선호해 수도권대 쏠림을 지나쳐 명문대 쏠림으로 이어져 반도체 인재양성이 대학서열화 조장도 우려된다.

계약학과를 운영하는 대학들의 공통적인 고충은 학생들의 중도탈락이다. 전국 계약학과의 중도탈락률은 20188.77%로 나타났다. 대학과 전문대학 등 고등교육기관의 중도탈락률은 6.69%. 채용조건형은 입학 시엔 100% 취업에 이끌렸지만, 막상 입학한 뒤엔 진로와 적성이 맞지 않는 경우도 생긴다. 일반학과로 입학하면 이중·복수전공 등으로 전공을 바꾸거나 넓힐 수 있지만, 계약학과는 불가능하다.

한편, 최근 홍원화 대교협 회장(경북대 총장)은 한 인터뷰에서 서울 중상위권 C대학, 거점국립대 B대학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반도체 계약학과 개설을 제의했으나 거절됐다는 말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 대학 관계자에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으나 해당 대학들은 그런 제의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홍 회장 말대로 C대학, B대학 제의가 거절된 것 인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관계부서에 확인협조공문을 발송한 상태다. 만약, 홍 회장 발언이 사실이라면 반도체 인재양성에 상당한 제약이 따를 수 밖에 없고, 반도체 기업들의 필요인재 수급에 관한 계획과 정책을 하루빨리 밝히는 것이 반도체 인재양성 방안에 혼선을 제거할 수 있다.

김인환 소장은 분명, 반도체산업이 국가전략산업으로 중요하다. ··(··)이 머리를 맞댈 의미가 충분히 존재한다. 그러나 교육부가 반도체산업이 대학 정체성을 왜곡시키면서까지 대학의 인력육성을 요구한다면, 그것은 대학의 손해가 아니라 국가적 큰 손실이자 국가의 중장기적 운영에 큰 패착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김 소장은 기업이 적극 나서야 참여할 분야는 고가(高價)의 반도체 장비·기자재 등 설비투자와 강의 및 실습 등에 관한 현장성이 뛰어난 지도교수 분야다. 전국 권역별로 2~3곳 허브센터를 구축해 산업현장에 종사하는 관계자가 지도교수로 참여하도록 적극 관심을 갖고, 이에 대한 방안을 밝힐 때 서로의 시너지가 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