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 정원미달’, ‘재정악화’, ‘수도권 편중지원’, ‘기업 인재수급’ 개선 도움

U's Line(유스라인)부설 미래교육정책연구소는 인재수급이 시급한 반도체 및 IT관련 학과를 비수도권대에 정책적으로 신설해 비수도권대가 앉고 있는 현안과 기업 인재수급을 동시에 풀자고 제안했다.
U's Line(유스라인)부설 미래교육정책연구소는 인재수급이 시급한 반도체 및 IT관련 학과를 비수도권대에 정책적으로 신설해 비수도권대가 앉고 있는 현안과 기업 인재수급을 동시에 풀자고 제안했다.
인재수급 해당학과 비수도권대 정책적 신설
인재수급 해당학과 비수도권대 정책적 신설

지방대가 소멸위기에 놓였다는 말이 실감이 날 정도로 비수도권대 정원미달이 위험수위를 향해 치닫고 있다. 비수도권대의 정원미달 원인은 학령인구감소수도권 편중지원이 주원인이다. 비수도권대가 해결할 수 있는 가벼운 주제가 아니다. 하지만, 세심한 고등교육 정책에 따라 비수도권대의 고민을 해결하면서 국가적 문제인 학령인구감소와 수도권 편중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U’s Line(유스라인)부설 미래교육정책연구소 제안을 보자. <편집자>

기업의 가장 큰 어려움 '인재수급' 

최근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소속 반도체 장비·소재기업 78곳을 대상으로 '반도체산업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가 실시됐다. 설문에 참여한 기업들은 경영상 가장 어려운 점으로 필요한 인재수급을 첫 번째로 꼽았다. 전체 78곳 가운데 65%가 넘는 51곳이 압도적으로 정부지원 중 가장 부족한 부분이 '인재수급'이라고 불만을 털어놨다. 2위로 응답한 연구개발(R&D) 지원보다 3배 가까이 많았다.

반도체 업계는 정부가 신경 써야 할 분야가 R&D보다 인재수급이 훨씬 더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사진 :서울경제)
반도체 업계는 정부가 신경 써야 할 분야가 R&D보다 인재수급이 훨씬 더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사진 :서울경제)

 

'인재수급' 어려움을 부르는 원인은 관련업종의 인력배출이 턱 없이 부족한 대학정원이 그 시작이다, 기업 CEO들은 주요대학의 반도체 학과정원이 충분하지 않다고 호소한다. 설문에 참여한 SCEO현재의 인력난을 해소하려면 수도권 주요대학에서 현재보다 최소 2배 이상 많은 연간 300~700명 정도의 반도체 전공 졸업생이 나와야 한다고 제시했다.

그나마 대기업 반도체 생산기업들은 인재수급 어려움을 수도권 주요대학과 계약학과를 체결해 부족한 인력공급을 간신히 넘기고 있다.

IT업계, "2025년까지 1500만여 명 필요" 전망

반도체 업종만 인재수급에 어려움이 처할 상황은 아니다. 글로벌 IT기업 아마존웹서비스(AWS)는 우리나라가 2025년까지 현재 근무중인 디지털 근무자 이외에 1,560만명의 디지털 인재가 추가로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국내 디지털 근무자수가 1,670만명임을 감안하면 2025년엔 현재보다 거의 2배에 가까운 93% 가량 많은 디지털 근무자가 필요한 셈이다.

                     수도권 기업-대학 계약학과 현황
                     수도권 기업-대학 계약학과 현황

그렇다면 디지털 업계가 원하는 인력수급 기술분야는 인공지능(AI)’머신러닝이다. A미래 예측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에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는 추세다. AI와 머신러닝 기술은 2025년 가장 빠르게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다. 이외에도 필요한 디지털 기술은 클라우드 아키텍처 설계 사이버 보안 대규모 데이터 모델링 ·소프트웨어·게임 개발 소프트웨어 운용 지원 등 5가지 기술에 AI와 머신러닝이 주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전망이다.

세척 및 소독 로봇수요도 크게 늘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이전 세계 세척·소독 로봇의 판매량은 전년 대비 무려 165%나 증가했다. UVD 로봇 등 자외선 소독 로봇을 생산하는 LG전자 관계자는 전문 로봇사업 분야가 새로운 금광(Gold mine)’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히면서 관련업종의 인력이 필요한 상황을 밝혔다. 아울러 아이들의 교육과 집안일 등을 담당하는 가사 도우미 로봇수요도 큰 미래시장이 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비수도권대 필요 인재수급 학과 정책적 신설

U’s Line(유스라인)부설 미래교육정책연구소에 따르면 반도체 업계는 수도권 대학관련 정원증설 등 인재수급 내용을 특별법에 포함시켜줄 것을 강력히 요구했지만 정부·국회 논의 과정에서 제외됐다. 현행법 수도권정비계획법상 수도권 대학은 '인구집중 유발시설'로 분류돼 정원을 늘릴 수가 없도록 돼 있다. 이 때문에 산업계는 특별법으로 이를 풀어달라고 요청했지만 지역출신 의원들의 반대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다면, 현행법 수도권정비계획법에 예외되는 특별법을 만들 필요도 없이 인력수급을 비수도권대에서 맡는 방법을 정책적으로 고려해 볼 수 있다. 필요한 디지털 기술분야도 5가지 이상이 되니 지역안배를 해 비수도권대 국·공립대, 사립대에 해당학과를 개설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기업체에서 요구하는 수도권대의 인재에 버금가는 비수도권 지역인재를 특화된 학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대학은 학과의 육성정책을 내놓도록 한다.

디지털 기술분야 인력양성 비수도권대로의 배분 효과는 다양할 것으로 예상된다. 취업 때문에 발생하는 수도권 편중지원 현상, 비수도권대 정원미달 사태, 신입생 정원미달로 재정악화를 겪는 대학에게 계약학과를 체결한 기업에서 학생 등록금을 대신 대학에 납부하면 재정적 측면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국내 반도체 대기업 최고경영자(CEO)"전기나 용수공급보다도 더 중요한 인프라는 인재"라면서 교육당국은 산업현장과 대학현장 사이에서 어려운 인재수급을 한시라도 빨리 풀릴 수 있도록 좋은 아이디어를 내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반도체 및 디지털 업계에서는 기술 전쟁은 결국 '규모와 인력'이 승패를 판가름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