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왼쪽)와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

[U's Line 김성한 특파원]미국의 대학은 아직 현실정치와 아카데미즘의 상호연결고리로서 적합한 공간으로 통하는 가치를 지닌 곳이다. 그런 대표적인 사례가 미국 대통령 선거 TV토론을 대학에서 하는 의미를 미국 국민들은 그렇게 이해하고 있다.

미국 대통령 대선 TV토론은 미국 국민들에게 큰 화제가 된다. 그러나 기업이나 단체에서 토론회를 유치한다면 어마어마한 정당기부금과 이에 따른 정경유착의 구설수 등으로 버텨낼 재간이 없을 것이라는 게 TV 토론회의 무게이자 가치다.

세간의 구설수를 한방에 없앤 것이 바로 대학 TV 토론회다. 상업적이지 않고, 반면 진리와 이성의 상징인 대학에서 TV 토론회를 한다는 것은 미국의 정치 지향이 첨단 자본주의에서도 이상(理想)을 추구한다는 걸 그럴듯하게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26일 미국 대선후보 1차 TV토론회는 뉴욕 주 헴스테드의 호프스트라 대학에서 열렸다. 2, 3차 TV토론은 각각 미주리 주 워싱턴 대학과 네바다 주의 네바다 대학에서 예정돼 있다. 올해까지 3번째 행사를 개최하는 호프스트라 대학의 경우 미국 내 대학순위가 133위 정도인데, 2008년과 2012년 행사를 치르면서 인지도가 크게 높아지고 신입생 지원자도 20% 가량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개최 대학은 대체로 기부금 규모로 결정된다. 올해도 돈 문제가 개최 대학의 희비를 갈랐다. 당초 1차 토론회는 오하이오 주 라이트 주립대학에서 열릴 예정이었지만 행사 비용이 800만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자 대학 측은 유치를 포기했다. 덕분에 호프스트라 대학은 세 번 연속 TV토론을 주최하는 기록을 세우게 됐다.

대선 토론을 준비하는 대학은 보통 1년 이전에 결정된다. 민주·공화당 관계자가 모두 참여하는 ‘대선후보 토론위원회’가 행사 주관을 신청한 대학을 심사해 결정한다. 2012년 12개 대학 등 역대 대선에서는 평균 10여개 대학이 신청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의 대학의 기능은 취업기관 이상도 이하도 아닌 작금의 현실에서 미국 대통령 TV 토론은 대학에게 늘 자리를 내놓는 미국사회의 바람은 정치가 대학의 정신을 닮으라는 뜻이 내포돼 있지 싶다.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