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에서 해제불가가 된 대학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노력한 일년의 점수가 지난해 1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 당시보다도 점수가 나쁘게 나왔다는 것은 평가과정에서 큰 오류가 있었다는 주장이다.

[U's Line 박병수 기자]수도권 소재 A대학 부총장은 “이행을 최대한 추진했던 한 해였다. 그러나 막상 받아든 지난 26일 성적표에서 오히려 지난해만도 못한 성적이 나왔다. 죽어라 한 일 년 뒤 성적이 더 나쁘게 나왔다는 게 이해가 가지 않는다”며 “게다가 성적을 매긴 근거가 아예 없다. 3영역만 제대로 나왔어도 이번에 정부재정지원제한에서 풀릴 수 있는 상황이었다”고 교육부의 평가방식에 크게 반발했다. 그는 점수에 대한 이의신청이 아니라 성적을 매긴 기준에 대한 정보공개를 청구하고 싶은 마음이라고 답답해했다.

한편, 수도권 소재 B대학 기획처장은 “사실 해제대상 대학이 워낙 적어 기대를 하지 않았다. 그러나 뜻밖의 낭보가 날아들어 학교운영에 좋은 모멘텀이 될 수 있으리라 본다”며 “우리 학교가 완전해제인 A등급을 맞았으나 어느 대목에서 좋은 성적을 얻었고, 반면 반대인 대목은 무엇인지 구체적인 내용을 알아야 2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를 대비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덧붙였다.

A대학은 큰 기대를 했고, B대학은 반신반의했지만 결과는 반대로 나왔다. 이행컨설팅을 하면서 자신의 대학의 개선정도를 전혀 가늠할 수 없는 ‘깜깜이 컨설팅’이었다는 것을 짐작하게 하는 대목이다. 또한 개별 학교별로 점수를 받았기 때문에 A~C의 상대 비교도 불가능하다. 오로지 교육부와 컨설팅 의뢰를 받은 한국교육개발원만 알고 있을 뿐이다.

심지어 이번에 해제불가를 받은 대학중 상당수가 교육부 실사단이 두세 차례 나올 적마다 긍정적인 답변을 해 재정지원 제한에서 못 빠져나올 것이라고는 꿈에도 생각 못했다고 말했다. 깜깜이 컨설팅 수준을 벗어나 판단미스를 불러일으키게 만드는 오류 컨설팅을 했다는 불평불만이 여기저기서 터져 나오고 있다.

이번에 교육부가 정부재정지원제한대상에서 해제를 해 준 곳은 25개교.(4년제 10개교, 전문대 15개교) 지난해 1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D·E하위등급을 받은 66개교 중 30%+α에 해당하는 대학에게 정부재정지원제한을 해제해 준 것이다. ▲1영역 개선계획 수립도(90점) ▲2영역 개선계획 이행도(85점) ▲3영역 미흡지표 개선도(84점)를 따져 A 완전해제, B 부분해제(조건부 해제) C(해제불가) 등으로 3단계 나눠 해제여부를 줬다.

재정지원제한 해제에서 빗겨난 대학들은 이러고도 1주일 뒤까지 시간을 준 이의신청을 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히고 있다. 가장 큰 배경은 ‘미운털’이다. 이의신청이 교육부에게 잘 보일 리도 없고, 이의신청했다 해서 상황이 바뀌기도 쉬운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굳이 할 필요가 있겠냐는 것이다.

이번에 제한에서 풀리지 못한 대학들 대부분 3영역에서 형편없는 점수를 받았다. 충청권 소재 C대학의 홍보실장은 “컨설팅 초기는 1·2영역만 평가하기로 해 놓고 지난 5월에서 교육부가 3영역을 평가하겠다고 밝혔다”며 “불과 몇 달 만에 지난해와 지표 개선여부를 평가한다는 게 이치에 맞기나 하냐?”며 교육부에는 마치 죽이려는 대학의 ‘살생부’가 있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들 정도라고 격앙했다.

대학들은 점수통보 방식뿐 아니라 컨설팅과 평가과정 자체에 큰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에 재평가를 원하는 대학은 재평가를 해줘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단 관련기사 참조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