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사업에 대한 우려가 선정대학 발표이후에도 끊이질 않는다. 이유중의 하나가 교육부의 독단적인 판단과 집행이다. 반면 조선업이 현재 큰 불황이지만 조선업계 관계자들은 5년이내에 다시 활황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조선업 관련학과 교수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가 큰 힘을 발휘하고 있다.   

조선업 불황 여파가 관련 공학과 폐과 및 구조조정으로 이어지고 있다. 조선해양공학과, 조선해양IT공학과 등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그런데 현재 이 상황에서 몇 년 전 내용이 오버랩 된다. 2008년 창원대는 조선업 호황으로 조선해양공학과를 신설했다. 08학번으로 입학했다가 2학년을 마치고 군복무를 갔다 돌아온 김영식(가명·27) 씨는 복학을 하니 2013년도.

당시 정부는 2013년 해양플랜트 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지정하고 5년간 5조9000억 원의 대규모 투자를 약속했다. 그러나 조선 및 해양 수출실적은 2012년에 397억5300 달러로 급락하고 있었다. 2013년에는 371억8600 달러로 줄었다. 정부 정책은 뒷북 그 자체였다. 김 씨가 복학을 해서 학교를 다닌 2년, 2013~14년은 국내 조선해양업이 바다 속으로 서서히 침몰하는 걸 목격하는 시간이었다고 회고 한다.

김용환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는 조선업과 해양플랜트 산업은 성격에서 차이가 많은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기술적 대책 없이 기업이 성급하게 뛰어든 것이 현재 조선업 위기의 원인이라고 지목한다. 서울대 공대 교수 26명이 공동집필한 <축적의 시간>에서 김 교수는 바다에 떠다니는 구조물을 만드는 것은 동일하지만 선박과 해양플랜트는 산업적 속성이 완전히 다르다고 설명했다. 이렇듯 산업전망은 섬세함이 필요하다.

산업전망이 이러함에도 교육부는 공학계 산업 미스매칭이라는 두리뭉실한 정책명분으로 3년간 6000여억 원을 쏟아 붓는 프라임사업 선정 대학을 발표했다. 이들 대학들은 인문계를 확 줄이고, 공학계를 늘리라는 교육부의 선정취지에 뽑여 거액의 지원금을 받게 됐다. 교육부가 무조건 옮기라는 공학계열이 몇 년 후 조선업처럼 될지 그 누구도 모른다. 아무 것도 모르고 2013년에 해양플랜트에 5년간 5조9000억원을 분 현 정부처럼 아무도 모른다.

그러나 조선업은 한 가닥 희망을 갖고 있다. 전국 조선업학과 교수 80%가 5년 이내에 조선업은 다시 부활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경남대 조선해양IT공학과는 4학년 학생 30여 명 가운데 일부는 현재 학교에 설치된 사업단에 들어가 조선해양 관련 사업에 대해 교육을 받으며 취업을 준비하고 있다. 희망하는 시기에, 희망하는 기업에 취직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지만 해양플랜트 국제공인 품질전문가 등 자격증을 따거나 어학능력 보충 등 장기계획을 세워 취업을 준비하는 학생들이 많다. 조선업은 전국대학 조선업학과 교수들의 설문내용을 대체적으로 믿는다. 학생들도 마찬가지다.

한편, 프라임사업으로 각 대학들이 가장 큰 관심을 보인 학과는 소프트웨어, 사물인터넷(IoT) 등 ICT 계열과 차세대 자동차, 에너지와 바이오분야로 압축된다. 프라임사업 대형을 신청한 사립대의 IT관련 학과 교수는 “현재 정부에서도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등을 선정하고 있는데 프라임 사업까지 특정 산업에 몰리게 된다면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며 “5년~10년 뒤 해당 분야가 초과공급이 되지는 않을지 평가위원과 교육부 차원에서도 신중히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김인환 미래교육정책연구소 소장은 “기업에 인력을 공급하는 데 급급했던 프라임사업 취지에서 벗어나 개념설계 등 지식을 축적할 수 있도록 산학협력 등을 모두 재구성해 나가야만 산업전망이 다소 틀려도 자생력을 만들어 갈 수 있는데 지난 프라임 사업 추진을 보고서 가장 크게 드는 걱정은 내수만으로 한국산업을 지탱할 수 있는 힘이 없는데 국내 산업전망만을 유독 강조한 부분이 우려되는 점”이라고 제기했다.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