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발시 '성적'보다 '소질'에 방점…일반고의 '직업고 전환' 유도

 

▲ 교육부는 2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준식 장관 주재로 시도 부교육감 회의를 열고, '고교 맞춤형 교육 활성화 계획'을 발표했다. 올해 24% 수준인 '취업희망자 특별전형'을 2022년까지 50%로 대폭 확대하기로 해 대학에 이어 고교도 취업중심으로 구조조정을 단행한다는 방침이다.

[U's Line 김재원 기자]대학에 이어 고교도 ‘취업중심’으로 구조조정이 단행된다.

교육부는 2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준식 장관 주재로 시도 부교육감 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이 담은 '고교 맞춤형 교육 활성화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2018학년도부터 적용될 '2015개정 교육과정'에 발맞춘 것으로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중학생이 고등학교에 입학하는 시기인 만큼 '꿈과 끼'를 키우는 방향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고등학교 입학을 위한 선발고사를 폐지시키고, 일반고의 '자기주도학습 전형'과 특성화고의 '취업희망전형'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또 특성화고 선발 방식도 기존 내신 성적중심에서 소질·적성 중심으로 전환, 올해 24% 수준인 '취업희망자 특별전형'을 2022년까지 50%로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특히 직업계고로 바꾸길 희망하는 일반고의 전환을 유도하는 한편, 직업계고 학과 중 일부를 인력 공급이 부족한 학과로 개편하거나 학급 증설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신도시 등 학교 신설시엔 일반고와 균형을 맞춰 직업계고를 설립하도록 장려할 방침이다.

아울러 직업계고 내실화 차원에서 기초교과에 직업교육을 연계한 '실용국어' '실용영어' '실용수학' 등의 교과목을 편성하는 한편, 2020년까지 200곳의 실습실 개선 작업도 병행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또 직업계고 학생 비중이 높은 교육청에 교원 배정이 불리하지 않도록 특목고·특성화고·일반고 등 학교유형을 구분한 교사 배정 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다. 정부는 먼저 고입 단계부터 소질과 적성을 고려한 선발이 이뤄지도록 시도별 선발고사 폐지를 유도하는 한편, 교과와 비교과 영역을 균형있게 반영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고입 선발시험은 경북·충남·울산·전북·제주 등에서 치러지고 있으며, 전북은 2018년, 울산과 제주는 2019년부터 폐지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대신 비평준화 지역 일반고와 자율형 공립고 가운데 희망하는 학교를 대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전형'을 확대해나간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기준 이 전형을 도입해 적용중인 학교는 전국 117곳이다.

또한 교육부는 또 2022년엔 고등학교 학생 수가 지난해의 30%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현재 30명 안팎인 학급당 학생 수도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수준인 24명까지 낮춰간다는 계획이다. 교사 1인당 학생 수 역시 13.3명까지 낮춘다는 목표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교급·유형별 교사 편차를 감안해 시·도별, 학교급 및 학교별 교사 재배치를 추진할 방침"이라며 "시도 교육청들은 앞으로 6년간 자체 중장기 계획을 수립해 추진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또 농산어촌 고교에 대해서도 전국 단위 모집을 일부 허용하거나 자기주도학습전형 확대를 통해 '거점 우수고'를 육성해나간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일반고 1537곳 가운데 군 이하 지역에 있는 학교는 442곳이다.

이준식 장관은 "중학교 자유학기제로 시작된 교육의 변화가 고교 단계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이뤄낼 것"이라며 "직업계고 진학 수요를 충족시키고 현장에 적합한 직업교육을 제공하는데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