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부산대 교수가 총장 직선제 폐지 반대를 주장하며 투신 사망한데에는 구성원들의 의견수렴 없이 정부의 추진 정책만을 쫓았던 대학본부의 불통이 가장 큰 문제였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부산대의 총장 선출방식을 학내 갈등은 김기섭 현 총장이 취임 전후를 해서 언급한 발언을 뒤집으면서 비롯됐다. 김 총장은 당시 총장후보 당시 대학의 자율성 확보를 위해 총장직선제를 고수하겠다던 총장후보 당시 공약을 뒤집고 '총장추천위원회 (간선제)에서의 선정' 방식으로 학칙을 변경한 것이 번복의 시작이다.

이에 격분한 부산대 교수들은 2012년 8월 29일부터 다음해 3월까지 210일 동안 총장실을 점거했다. 교수들의 강한 반발에 김 총장은 다시 총장공한을 통해 전체 교수에게 직선제 복귀를 약속하기에 이르렀다.

총장 공한에 따라 총장과 교수회장의 합의로 구성된 총장선출제도위원회는 2014년 6월까지 총장선출방식 개정절차를 완료하기로 했지만 김 총장은 2014년 3월 20일 합의서상의 투표 절차를 거치지 않은 채 총장의 직선제 선정규정을 폐지, 사실상 간선제로 또 다시 번복했다.

이 지경이 되자 부산대 교수들과 김기섭 총장과의 신뢰는 더 이상 없었다. 김 총장의 말을 교수들은 믿지 않았다. 교수들의 거센 반발이 또 다시 일어나자 김 총장은 교수 총투표를 실시해 총장 선출방식을 결정하자고 제안을 해 왔다.

그해 12월 9일 교수회는 정기총회에서 합의서에 첨부된 교수회안과 대안본부안을 투표에 부쳤고, 교들로부터 '선거공정성을 강화한 직선제안'이 84%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김 총장은 이 같은 투표 결과를 인정하지 않은 채 공한을 통해 '올해 5월 말까지 대학구성원의 의사를 물어 총장 선출제도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약속했던 5월이 되자 김 총장은 '투표 결과를 참고해 총장이 결정한다'는 투표 계획을 공고하며 교수회와의 약속을 다시 깨뜨렸다.

김 총장은 이어 6월 2일 '그동안의 모든 학내 합의와 약속은 없던 것으로 하겠다'는 취지의 공한을 발표해 총장 선출 방식의 간선제 전환을 못 박았다. 결국, 자신이 내걸었던 약속을 3번에 걸쳐 번복한 것인데 이 과정에서 신뢰가 깨진 학내 구성원들의 좌절과 반발감은 극에 달해 있는 상태였다.

김기섭 총장의 번복은 고 모 교수의 죽음으로 끝났다. 학내 구성원들의 의견을 수렴하려는 총장 역할보다는 간선제로 변경하기 위한 총장으로서의 역할만을 했다. 고모 교수가 사망한 17일 오후 9시 넘어 김 총장은 원점에서 총장선거방식을 다시 논의한다고 밝히고 총장에서 사퇴했다.

부산대 한 교수는 "김기섭 총장은 부산대에서 아주 오래 갈 불신을 만들어 내고 사퇴했다. 이제 부산대에서 총장 선거방식은 중요하지 않게 됐다. 중요한 것은 부산대라는 대학이 살아가야 하는 의미를 만들어 내야하는 순간"이리고 말했다.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