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일보 사설을 읽고 참으로 좋은 아이디어가 지자체와 대학간에 이뤄져다는 생각에 내 컴퓨터에 즐겨찾기로 돼 있는 U's Line의 독자제언에 올린다. 최근들어 대학소식하면 대학비리, 반값등록금 소식외에는 특별한 게 없는 상황이다. 이런 때에 지자체와 대학이 제대로 된 트레이드를 해 시너지를 냈다는 것은 그래도 이 나라의 누군가는 고민하고, 실천하고 있구나 하는 생각들면서 사설을 소개한다.

지역대학과 지방자치단체의 상생 협력관계는 늘 강조되고 있다. 산·학·연 협력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대학과 지자체가 진지하게 지역과 대학 발전을 위해 심도 있게 협력했다기보다는 단편적인 협조 차원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대학이 발전되고 이것이 지역 경쟁력이 되는 선순환은 더더욱 기대하기 어려운 구조였다.

그런 점에서 대전시와 충남대의 19일 상생협약은 한 단계 진전된 것으로 평가된다. 각자 부지를 교차 매각해 각각 월드컵경기장 보조경기장과 제2캠퍼스 부지로 활용한다는 복안은 실리 면에서도 돋보인다. 잘만 되면 지방대학과 지역사회가 공생하는 모델이 될 법도 하다. 부지 교환은 또한 다른 분야의 협력으로 확대 발전시킬 여지를 키웠다.

실제 이번 업무협약에서는 대덕특구 내 산·학·연 거점대학 조성, 대전지역 산·학·연·관의 네트워킹 활성화 등 여러 방안이 함께 제시됐다. 이를 지역 인재를 키우고 지역 기업체에 채용하는 매칭 시스템 구축 등 실업 해소 문제까지 확장시켜야 한다. 기업과 대학, 지자체가 합심하면 그때는 세 주체의 윈·윈·윈 시스템이 가능할 것이다.

이 같은 상생협력 시스템은 지역 소재 다른 대학과도 이뤄져야 한다. 마침 염홍철 대전시장도 상생 협력 체계와 관련, 대전권 19개 대학과도 같은 원칙을 적용한다고 밝혔다. 차별 없이 대등하게 대학과 지자체의 진정한 상생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 지자체는 좀더 의지를 갖고 상생협력으로 지방대를 살린다는 차원까지 접근했으면 한다.

대학 입장에서는 지자체와의 관계망 형성을 선택이 아닌 필수의 과제로 받아들여야 할 시점이다. 이는 충남지역의 대학과 각 지자체에도 해당된다. 아산을 예로 들면 아산시와 순천향대, 호서대, 선문대 등과 협력을 강화하면 될 것이다. 그렇게 해서 벼랑 끝에 선 대학을 지방경제의 중심축으로 끌어들이는 대안도 될 수 있다고 본다.

이번 대전시와 충남도의 토지 교환을 통한 상생협력은 지자체와 대학 협력의 진일보된 사례다. 연구개발, 인력양성 사업, 각종 지원 등 모든 측면에서 소외되는 대학이 있어서는 안 된다. 학생 자원의 감소 등으로 위기에 처한 지역대학은 결국 지역에서 생존전략을 찾는 수밖에 없다. 지역적 특색과 장점을 살린 더 긴밀한 상생 협력을 주문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계획에서 머물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생각도 좋아다면 조금 히ㅣㅁ들어도 서로 의견을 맞추려고 해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나라의 사람의 단점중의 하나가 협상의 기술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자존심, 성급함, 속전속결 등 여러문화와 연관돼있다. 아무쪼록 좋은 아이디어가 결실을 맺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