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정권의 대표적 입시정책이라 할 수 있는 ‘입학사정관제도’가 결국 순기능보다 부작용이 많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존립기반이 흔들리고 있다.

당초 입학사정관제는 다양한 분야의 재능을 지닌 인재를 발굴하기 위한 입시정책으로 MB정권이후 급속히 빠른 속도로 성장해 왔다. 어느 대학에서는 입학사정관제 선발인원이 모집 인원의 50%를 육박할 정도로 세를 확장하고 있다.

하지만 숨은 재능과 남다른 끼를 지니고 있는 수험생을 찾는 대학의 노력은 없고 단순히 입시의 한 전형으로만 정착되면서 입학사정관제도의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당초 도입 취지와는 달리 특목고 학생들의 진학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으며 어렸을 때부터 다양한 사교육을 받아온 고소득층 자녀들에게 유리하다는 볼멘소리가 교육계 안팎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소속 유기홍 의원(민주통합당)이 2012학년도 서울대 입학사정관 전형 합격자를 분석한 결과 특목고, 영재고 출신의 합격자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계고 지원자 1만887명 중 합격자는 1477명(13.6%)에 그친 반면 영재학교 출신 지원자는 185명 중 122명(65.9%), 과학고 출신은 769명 중 217명(28.2%)이 합격한 것으로 드러났다. 영재고나 과학고 출신 학생의 합격률이 일반계고에 비해 최대 5배 가까이 높은 셈이다.

특히 영재고 출신 학생들의 서울대 쏠림 현상이 두드러졌다. 서울대를 비롯해 고려대, 성균관대, 서강대, 연세대, 이화여대 등 서울 소재 주요 4년제 대학 15곳의 입학사정관 전형 결과 영재고 출신이 총 134명 합격했는데 이중 122명이 서울대에 합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 뿐만이 아니다. 15개 대학의 2012학년도 입학사정관 전형 학생선발 실적을 분석한 결과 경희대, 중앙대, 한국외대, 홍익대 등 4개 대학에서 특목고 및 영재학교 학생 합격자 비율이 일반계고보다 높았다.

한국외대의 경우 특목고, 영재고 출신 학생의 지원자 대비 합격률 17.6%로 일반계고 11.1%에 비해 크게 높았다. 홍익대는 28.6%로 일반계고 20.5%를 크게 웃돌았다.

특목고 출신뿐만 아니라 고소득 부모의 자녀일수록 입학사정관제에서 더욱 유리하다는 조사 결과도 제기됐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소속 박혜자 의원(민주통합당)이 광주·전남 소재 고등학교 3학년 담임교사 620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10명 중 8명 꼴로 ‘부모 소득이 높을 수록 입학사정관제에 유리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체 응답자의 77.4%가 ‘학부모가 전문직일 경우 유리하다’고 답했으며, 76.6%는 대도시 거주 학생들이 입학사정관제 전형에서 더욱 유리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행히 대선을 앞두고 새누리당이나 민주통합당 모두 축소 또는 폐지쪽으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어정권이 바뀌면 입학사정관제도는 어떤 방식으로든지 축소 또는 폐지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두고 대학에서는 ‘그동안 입학사정관제 정착을 위해 많은 투자를 해왔는데 정권이 바뀌면 입시정책이 또 바뀔 텐데 어느 장단에 맞춰야할지 모르겠다’고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입학사정관제도는 도입초기 새로운 입시모델로 각광받았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제도도 그 부작용을 예상하고 최소화시키는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또 뿌리가 튼튼히 내리게 하는 정책이 우선되어야함에도 불구하고 단지 ‘5년 임기내’ 성과내기에만 급급했던 근시안적인 교육정책이 빚어낸 부작용이다.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