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신(忠臣)은 죽음을 무릅쓰고 간언(諫言)을 하고, 간신(奸臣)은 체면을 무릅쓰고 간언(間言)을 한다. 간언의 역사 중 회자되는 내용 중 하나가 전한(前漢)시대의 성제(成帝) 때 주운(朱雲)의 이야기이다. 신하 주운은 죽음을 무릅쓰고 황제에게 국정을 농단시키는 황제의 스승 안창후(安昌侯) 장우(張禹)를 즉시 처형할 것을 간언 한다.

그러자 황제는 격노하여 주운을 끌어내라고 명령한다. 주운은 어전의 난간을 붙들고 끝까지 간언으로 항변하다 결국 난간이 부러지고 만다. 이후 성제는 주운의 간언을 새기기 위해 그 난간을 부러진 채 그냥 두라고 해 그 이후 ‘절함(折檻)’이라는 말이 생겨났다.

어느 시대마다 충신은 있고, 간신도 있다. 이도저도 아닌 신하가 가장 많긴 하지만... 피상적으로 충신과 간신의 구별은 왕의 마음이지만 결국은 역사가 한다. 역사가 왕을 평가하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역사를 바라보는 눈, 백성을 바라보는 마음이 한다. 그래서 충신은 역사와 백성을 보고, 간신은 당대와 자신의 권욕만을 본다. 왕은 전지전능한 인물이 아니다. 다만 얼마나 마음의 문과 귀를 열어 놓고 있느냐는 것이 성군(聖君)과 아님의 구별점이다.

이런 면에서 우리 역사에 ‘절함’이라는 ‘귀를 연다’는 내용에 가까운 인물이 있다. 바로 세종대왕이다. 그 단면은 바로 세종대왕의 소통의 리더십에서 잘 나타난다. 세종대왕이 소통의 리더십을 발휘해야만 했던 속사정이 있었다. 세종이 왕위를 이어받은 이후에도 아버지 태종의 피비린내 나는 철권정치의 서슬은 퍼랬다. 태종은 아들을 위해 재상의 나라를 꿈꾸던 정도전을 죽였고 외척의 득세를 막기 위해 세종의 장인 심온마저 처형했다. 왕의 눈치만 보기 바빴다.

결국 세종은 걱정하지 말고 신하들에게 입을 열라고 당부했다. 오히려 세종 자신은 입을 무겁게 했다. 그런 덕에 한글창제에 반대하는 최만리 같은 신하가 나올 수 있었던 것도 세종대왕의 소통의 분위기에서 비롯된다. 세종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백성의 소리를 듣기 위해해 역사상 최초로 전국 여론조사를 실시한다. 세종은 매년 작황에 따라 세율을 달리 적용하는 '답험손실법(踏驗損失法)은 관리들이 농간을 부릴 여지가 많다고 보고 일종의 정액 세제인 공법으로 바꾸려 했다.

이에 사대부들이 반발하자 세종은 재위 12년 전국 여론조사를 실시해 찬성 9만8657명, 반대 7만4149명으로 세제를 개편했다. 이처럼 세종의 여론에 귀를 열어놓고 정책에 반영하는 소통의 리더십은 그를 우리나라 역사상 최고의 성군이라는 호칭이 가장 잘 어울리는 왕이 됐던 것이 아닐까 싶다.

서울시장을 비롯해 몇몇 새로운 목민관(牧民官)들이 등장했다.

주어진 임기의 시간은 짧으나 직분에 대한 평가의 시간은 길다. 아니 영원할지 모른다. 짧은 시간에 영원한 평가를 넘어설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은 마음속에 ‘절함’을 새기는 일이다. 평생 부러지지 않는 절함을 말이다.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