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대학평가를 연일 신문지면에 대서특필하고 있는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과연 대학등록금 문제에서 자유로울까? 그렇지 않다.

중앙일보는 1994년부터 대학평가를 실시해오고 있으며 조선일보는 2009년부터 영국 대학평가 기관인 QS(Quacquarelli Symonds)와 공동으로 아시아 대학 평가 결과를 발표하며 대학 서열매기기에 동참하고 있다. 두 신문사의 대학평가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이라기보다는 정량화되고 획일적인 평가방법이라는 지적을 받으며 대학으로부터 원성을 사고 있다. 지난해 9월 서울 8개 대학 교수협의체 연합회가 언론사 대학평가를 비판하는 성명을 냈으며 10월에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서열화하는 대학평가에 협조할 수 없다’는 결의문을 채택하기도 했다.

중앙일보의 경우 2009년 애초 평가대상에 포함되었던 신문방송계열의 학과평가 결과가 ‘종합편성채널 심사 불이익 가능성’을 이유로 취소되었다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다. ‘조선일보·QS 아시아대학 평가’는 의외로 평가항목이 단순하다. 연구능력 60%, 교육여건 20%, 졸업생 평판도 10%, 국제화 10%를 종합해 전체 순위를 매긴다. 연구능력은 학계평가 30%, 인용 색인 스코퍼스(Scopus) 데이터베이스 30%를 활용하고 교육여건은 교원당 학생 수가 평가항목의 전부다. 국제화에서는 △외국인 교원비율 △외국인 학생비율 △유치 교환학생비율 △파견 교환학생 비율이 평가항목이다. 이렇게 획일적인 평가항목으로 아시아 대학을 공정하게 평가한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다.

이러한 언론사의 대학평가는 대학운영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울며 겨자 먹기로 대학평가에 참여하고 있는 대학들은 2~3년 전부터 언론사 평가와 교과부 예산지원 사업 평가준비를 위해 평가전담팀까지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학의 운영 효율화 보다는 각종 대학 평가 지표에 맞춰 예산을 편성하고 행정조직을 재편하고 있는 형편이다. 단기간에 교수 수를 늘리거나 기숙사 수용률을 높이고 교육비 환원율을 높이는데 막대한 예산이 투입됐다.

물론 교육환경개선 측면에서 이러한 요소는 분면 긍정적인 면도 없지 않다. 그렇지만 평가를 받기 위해 수치만 늘리는 투자가 얼마나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박진배 연세대 교수평의회 의장은 “대교협의 평가인증의 기능을 살리고, 대학의 기본정보를 제공하는 대학알리미를 활성화해야 한다"며 "특정 언론보다는 평가를 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비영리 기관이 정부 인증을 받아 평가하는 시스템이 정착돼야 한다”라고 대안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