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 집단 취급받은 사학... 대학에만 책임전가

“대학을 마치 범죄 집단 취급하는 것 같아서 상당히 불쾌했다. 일간지 어느 기자는 사무실에 들어와 집기와 필기구 등 비품까지 조사해서 당황스러웠다.” 지난 6월 조선일보, 중앙일보 등 국내 주요언론사들의 반값 등록금 보도 당시 서울소재 S대학 홍보실장이 내뱉은 말이다.


‘반값 등록금’이 우리사회의 최고 이슈로 떠오르면서 이 문제는 아직까지도 신문지면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를 중심으로 그동안 보도됐던 ‘반값등록금’에 대한 실태를 분석해 본다.

‘반값 등록금 수원대가 해답’이라고?


‘반값 등록금’ 문제를 가장 먼저 치고 나온 매체는 아이러니하게도 중앙일보와 조선일보다. 중앙일보는 5월 25일자 사립대의 ‘등록금 의존증’이 점점 심해지고 있는 현상을 비판하더니 6월로 접어들어 아예 ‘등록금 내릴 수 있다’는 기획시리즈를 연속으로 내보냈다.


그런데 6월 3일자 신문을 받아본 대학관계자들은 다소 의아해 할 수 밖에 없었다. ‘등록금 반값, 수원대가 해답’이라는 기사가 1면 톱으로 나왔기 때문이다. 기사 내용은 지난해 학생들의 등록금으로 322억 원을 적립한 수원대가 이중 250억 원을 장학금으로 돌리겠다는 내용이다. 물론 수원대의 취지는 나쁘지 않다. 그렇지만 다시 한 번 생각해보자.


중앙일보는 3일자에 이어 11일자 신문에서 수원대가 지난해 1394억 원의 등록금을 받아 이중 322억 원을 적립금으로 돌렸다고 보도하고 있다. 적립금 규모도 홍익대, 중앙대, 계명대 다음으로 많은 금액이다. 학생들이 낸 등록금에서 적립금으로 빠져나간 비율이 무려 23.1%로 충남에 있는 중부대 다음으로 높은 비율이다. 수원대는 한마디로 ‘장사(?)를 최고로 잘한’ 대학이지 등록금 반값 대학의 모델이 될 수 없는 대학이다.

수원대는 장사(?) 잘한 대학


중앙일보는 수원대를 ‘등록금 반값 해답’ 대학이라고 보도하면서 11일자에는 ‘등록금을 가장 많이 빼돌린 대학’으로 보도한 셈이다. 결국 학생들에게 많이 거둬들어 이중 일부를 장학금으로 나눠주는 ‘생색내기’에 지나지 않는다.


수원대는 2011년 현재 누적적립금이 2972억 원으로 이화여대, 홍익대, 연세대 다음으로 많은 대학이다. 전국대학 랭킹 4위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입학정원 2600여명의 대학 규모나 명성으로 봤을 때 엄청난 액수다. 이 대학의 지난해 법인전입금이 불과 1억4000만 원인 점을 감안하면 적립금의 대부분이 등록금으로 조성됐다는 것은 누구나 짐작할 수 있는 일이다. 이 대학은 올 하반기 출범 예정인 조선일보 종합편성 채널 ‘조선방송’에 50억 원을 투자한 것으로 드러나 비난을 사고 있다. 참고로 방상훈 조선일보 사장과 이인수 수원대 총장은 사돈지간이다.


지방 S대 총장은 “대학의 가장 본질은 교육인데 교육 질이나 인프라는 따지지 않고 수원대 사례를 보도한 것은 극히 한 부분만 보도한 것으로 결코 반값 등록금의 해결방안이 될 수 없다”고 비꼬았다.

반값 등록금 책임, 대학에만 덤터기 씌워


이번 중앙일보와 조선일보의 ‘반값 등록금’ 보도는 ‘반값 등록금 촛불집회’와 맞물려 여론 물타기용이라는 의혹을 떨치기 힘들었다. 반값 등록금 요구가 사회적 공감대로 형성되어가는 과정에서 문제의 본질과 대안을 시종일관 대학으로만 떠넘기려는 보도 형태를 보였기 때문이다.


두 신문은 ‘대학들 지나친 등록금 의존이 문제’ ‘사립대, 등록금서 8100억원 빼돌렸다’ ‘등록금 9% 올릴 때 교수연봉 16% 뛰었다’ ‘신이 내린 최고 직장, 사립대 직원’ 등 고액 등록금 책임을 대학 탓으로 만 돌려 등록금 문제를 모두 대학책임으로 몰고 갔다. 대학 등록금 문제는 물론 사학법인에게 1차적인 책임이 있지만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고 정치권, 대학당국이 주도적으로 나서 풀어가야 할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본질을 철저히 대학에게만 전가하는 보도형태를 보였다. 결국 등록금 보도를 통해 등록금에 대한 국민적 반감을 정부와 여당이 아닌 대학과 사학재단 쪽으로만 돌린 셈이다.


같은 시기 광화문 광장에서 개최된 반값 등록금 촛불 집회는 애써 외면하면서도 ‘반값 등록금 해결’을 적극(?) 나서는 이중적인 보도태도를 보인 것이다.

반값 등록금이 대기업 특혜라고 우기는 조선일보


조선일보는 6월 4일자 1면 머리기사 ‘반값 등록금 희한한 역설’이라는 기사를 통해 ‘반값 등록금 논의가 자칫하면 서민의 지갑을 털어 대기업 금고로 넣는 역설적인 결과를 낳게 될 수도 있다’는 주장을 통해 ‘반값 등록금이 실현될 경우 그동안 임직원 자녀에게 대학 등록금을 지원해줬던 대기업의 부담이 그만큼 줄어 1000억 원에 달하는 이익을 대기업이 가져갈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반값 등록금에 대한 본질을 흐리는 주장이다. 설령 반값 등록금을 통해 대기업이 이익을 본다고 하더라도 그건 어디까지나 문제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대기업들에게 돌아가는 이익만 우려했지 이익금을 ‘반값 등록금’ 해결에 사용하자는 주장은 그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다. 결국 조선일보는 ‘대기업’을 통해 자신들의 주장을 우회적으로 드러낸 셈이다.


아울러 ‘다른 부문에 들어갈 정부 예산을 삭감하지 않는다면 적국 1700만 가구는 1년에 세금 30만원씩을 더 내야 한다’며 교육에 대한 대기업들의 책임은 애써 외면한 채 국민들의 고통분담만 부각시키는 보도형태를 보였다.

정략적인 사리사욕 의구심 떨쳐내야


중앙일보와 조선일보는 매년 대학평가로 국내 대학에게는 ‘서릿발’ 같은 존재다. ‘서릿발’은 준엄한 기운이 적시에 미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지금까지 두 신문의 대학평가에서 대학운영의 공공성, 윤리성에 무게를 둔 지표값을 본 적이 드물다.


대학평가에서는 대학을 서열화 시키더니 대학생들이 반값 등록금을 외치니 대학을 마치 범죄 집단화 한다면 그동안 실시한 두 신문의 대학평가는 범죄 집단을 서열화 한 것이 아니냐고 되묻고 싶다. 한국의 대표적인 오프라인 신문인 중앙일보와 조선일보의 등록금 해결 솔루션과 대학운영의 지적이 보다 실질적으로 다가서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두 신문의 최근 등록금 보도 논지에 대해 의심의 눈으로 바라보고 있는 정략적인 사리사욕(社利社慾)의 의구심을 떨쳐야 할 것이다.


두 신문이 앞으로도 계속 대학평가를 할 것이라면 하루속히 논지의 일관성을 통해 신뢰를 쌓아야만 대학평가도 신뢰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지가 지적하는 대학에서 바라보는 두 신문에 대한 의구심이 어떤 것인지는 대학현장 고하간의 목소리를 들어보면 바로 알 것으로 확신한다. 일방적인 편리함은 종국에는 관계를 매우 어렵게 만드는 불편한 진실이 되기가 쉽다.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