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으로 지방대학들이 몰려들고 있다. 살기 위해서다. 그 놈에 신입생이 뭐라고 정든 곳, 살던 곳을 버리고 수도권행 열차에 몸을 실었다. 최근 5년간 8개 지방대학이 수도권 이전 승인을 받았다. 이들 대학들은 “‘학교정책’으로 옮긴 것이 아니라 ‘호구지책’으로 옮겼다”며 거친 숨을 몰아쉰다.

누가 이 대학들을 사람도 낯설고, 길도 낯 선 곳으로 오게 했는가. 다른 이유가 아니다.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50%가 수도권에 몰려 살 정도로 수도권 인구집중화는 살인적이다. 여기다 ‘대학구조개혁’이라는 그럴듯한 이름으로 밀어붙이는 정부의 대학정책은 지방대학에 더욱 불리하게 작용돼 지방에서 살아남을 경쟁력이 없다고 판단한 대학은 일찌감치 이전승인을 내 수도권에 보금자리를 틀기 시작했다.

충남 홍성 청운대는 2013년 인천에 제2캠퍼스를 개교했다. 현재 이공계열 8개 학과 학생 1600명이 인천 캠퍼스에서 수업하고 있다. 충남 금산 중부대는 올해 1학기부터 경기 고양 캠퍼스를 개교했다. 고양 캠퍼스에는 방송·문화산업과 교육서비스 분야 22개 학과 신입생 865명이 입학했다. 강원 고성의 경동대는 지난해 2월 경기 양주 캠퍼스의 문을 열었다.

2011년부터 간호학과 등 보건의료 분야 이전을 추진했던 대전의 을지대도 올해 교육부로부터 이전계획을 승인받고 오는 2018년 개교를 목표로 경기 의정부에 캠퍼스와 부속병원을 연내 착공할 계획이다. 경동대 관계자는 “일부 학과들이 양주 캠퍼스로 옮겨 가면서 고성에 있을 때보다 입학 경쟁률이 올라가는 등 수도권 이전 효과를 톡톡히 봤다”고 말했다. 충남 홍성캠퍼스에서 인천캠퍼스에다 일부 캠퍼스를 개설한 청운대는 2015학년도 정시경쟁률을 보란 듯이 내놓았다. 이러니 “옮기려고 하지~”라는 말이 절로 나온다.

청운대 인천캠퍼스는 2014학년도 일반전형 기준 25.06대 1을 기록해 전국 최고 경쟁률 대학으로 등극하기까지 했다.<참조 : 아래 표>

 

최근에는 경북 영주시 풍기읍 동양대가 동두천 미군공여지 캠프 ‘캐슬’에다 2016학년도 개교를 목표로 이전 준비를 하고 있다. 제천 세명대는 경기도 하남시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전북 익산 소재 원광대도 평택으로 일부 이전을 천명한 상태다. 이로 인해 해당 지역상인들의 권익단체인 지역경제협의체들이 난리가 났다. 대학이 떠나면 자신들이 죽겠다고 야단법석이다. 떠나는 자(대학)는 “살기 위해서 떠난다”하고, “네가 떠나면 내(지역상인)가 죽는다”며 서슬이 퍼렇다.

그러면 어찌해야 하는가. 지역대학을, 지역상인을 어찌해야한단 말인가. 해법을 찾아줘야 할 정부는 꿀 먹은 벙어리처럼 아무 말도 없다. 답을 못 찾고 있다는 반증이다. 답은 뻔하다. ‘지역균형발전’이다. 그런데 특이한 것이 있다. 우리나라 지역균형발전은 ‘교육환경’과 매우 밀접하다는 것이다. 이게 문제를 꼬이게 만든다. 여기서 교육환경은 교육받을 수 있는 환경만을 뜻하지 않는다. 그 지역에 대학이름 이야기해도 쑥스럽지 않은 대학이 얼마나 있냐는 것이 교육환경을 크게 좌우하고 있다.

이렇게 서로 죽겠다고 아우성인데 7일 오후 국회에서 대학구조개혁법 공청회가 열렸다. 대학구조개혁법 처리를 위해 사전에 민심을 듣겠다는 자리다. 그런데 먹고 사는 문제인 호구지책 알맹이는 다 빼고 대학구조개혁을 잘 하자며 공청회를 여·야 합의로 열었다. 이 난제를 풀려면 하나, 둘만을 풀어서 될 일은 아니다. 그러나 우선해야 할 일이 있다, 지방 중·소규모 대학에 불리한 구조조정이 계속 추진된다면 학생충원율을 높여야만 사는 등록금의존율 무지막지하게 높은 지방대학들 수도권행 짐 보따리는 잡기 어렵다. 대학구조개혁에 있어 중요도가실종됐다. '공청회'다운 공청회가 되려면 국회의원들은 지방으로 내려가 들어라. 100번 공청회 보다 더 필요한 상황이다.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