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청년실업규모가 120만명을 넘었다. 개인적, 국가적 차원에서 볼 때 큰 손실로 안타깝기 그지없다. 그러나 올해는 노인부양 정책에 예산을 쏟아 부느냐 청년실업은 대책은 더욱 뒷전이었다. 그러나 청년실업은 단기적 대책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 중장기적인 플랜과 현실반영을 하지 않으면 나중에 또 실업자가 양산되는 구조를 가졌다.

이에 따라 청년들에게 가장 관심있는 주제가 ‘글로벌’이다, 해외 견문을 넓히면서 생계형 일자리가 생긴다면 모르긴 몰라도 많은 젊은이들이 반길 것으로 본다. 그 아이디어중의 하나가 공적개발원조(ODA)와 관련해 해외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다.

국제사회는 코리아에게 경제력에 걸맞은 개발원조 동참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회원국으로서 2015년까지 국민총소득(GNI) 대비 공적개발원조 비율을 현재의 약 0.1%에서 DAC 국가 평균수준인 0.25% 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다.

어차피 ODA에 대한 지원을 늘려야 한다면 젊은이들을 개도국 유 · 무상 원조사업에 참여시켜 청년 일자리도 만들고 글로벌 세상에 대비하는 인력을 양성하자는 취지다.

또한 신흥시장으로 주목받는 국가로 유학가는 대학생들에 대한 국가지원을 늘리는 것도 고려해볼 만하다. 추후 이 나라와 더 많은 교역이 이뤄질 때를 대비해 현지사정에 밝은 인력을 확보해 두자는 뜻이다.

특히 최근 국가브랜드위원회가 국가브랜드 제고를 위해 정부파견 해외봉사단의 규모를 확대하고 있다. 이번 기회에 해외봉사단 규모를 늘리는 방안과 함께 봉사단 성격도 기술봉사단도 신설해 개도국에 코리아의 이미지 외에도 실질적으로 도움을 줘 마음에 남는 봉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 기술봉사단의 구성도 국가지원으로 일정기간을 기술봉사를 하고나면 그 나라에서 기술이전자를 채용하는 조건으로 글로벌 일자리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일자리는 단순한 고용창출을 넘어 세계 시장에서 우리나라의 영향력을 높이는데도 큰 일조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대외 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수출시장 개척과 함께 안정적인 해외자원확보가 늘 중요한 과제다. 개도국 원조사업을 통해 현지의 문화관습 등을 경험한 인력은 새 수출시장 개척에 필요한 인적자원이 될 것이며,원조의 확대를 통한 국가 이미지 제고는 풍부한 자원을 갖고 있는 중앙아시아 및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유대관계를 증진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젊은이들도 다양한 경험을 쌓고 국제화의 넓은 시각을 갖는 좋은 기회로 활용할 수 있으며,국가적 차원에서도 대외이미지 제고라는 실익을 얻을 수 있다.

<한국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