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수도권에서 연봉 더 주고, 비전 더 있는데 안 갈 교수 있겠냐”
“학생 유출되더니 교수도 유출되면 지역은 빈껍데기” 자포자기

반도체학과가 설치된 서울소재 연세대가 반도체학과 기술로 선정된 사업규모액을 선전하고 있다.
반도체학과가 설치된 서울소재 연세대가 반도체학과 기술로 선정된 사업규모액을 선전하고 있다.

[U's Line 유스라인 이경희 기자] 윤석열 정부 들어 반도체에 이어, 디지털 관련 전공 정원도 늘리기로 해 지역대학들은 위기감에 빠지면서 반발 또한 거세질 양상이다. 반발의 가장 큰 배경은 수도권대학들이 정원이 늘면 반도체학과 및 첨단학과 교수를 스카웃해와야 하는데 바로 지방대에서 빼갈 것이라는 위기감이다.

도체 관련 전공의 수도권대 정원증원을 허용한 교육부가 불과 한 달 만에 디지털 관련 전공 정원을 늘리는 방안을 내놓았다이번에도 반도체와 마찬가지로 대학이 교원만 확보하면 디지털 분야 학과의 정원을 자유롭게 늘릴 수 있게 관련 규제를 완화했다. 지역대학들은 한 달 만에 또다시 유탄을 맞은 꼴이 됐다.

첨단산업 관련 전공의 잇따른 정원규제 완화는 지방대 죽이기나 다름없다고 반발하는데에는 필요인력의 수도권 이동을 먼저 꼽는다.

비수도권대학 S대학 관계자는 수도권 대학에서도 반도체학과 정원이 늘어나면 당연히 교수채용을 늘려야 할텐데, 수도권대학에서 연봉 더 주고, 나름 자신에게도 비전이 더 있는데 오라면 안 갈 교수가 어디있겠냐이렇게 되면, 지역대학은 반도체학과, 첨단학과는 공백이 생길 수 없는 것 명약관화한 상태라고 정부 정책을 비난했다.

홍석준 국회의원(국민의힘 대구 달서구 갑)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에 2021년도 기준 반도체 관련 계약학과는 총 17(채용조건형 6, 재교육형 11)가 운영중이며, 이 가운데 15개가 수도권(서울·경기)에 집중돼 있다.

비수도권에서 운영되는 반도체 관련 계약학과는 단 2개뿐으로, 공주대(충남), 한국폴리텍대학 청주캠퍼스(충북)재교육형’ 2개가 고작이다. 나머지 15(채용조건형 6, 재교육형 9) 계약학과는 수도권인 서울(6경기(9)에 편중돼 있다.

반도체 계약학과의 경우 산업체 맞춤형 인력을 양성하는 채용조건형과 소속직원의 재교육 및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재교육형으로 나뉜다.

이같은 반도체 계약학과의 수도권 쏠림 현상은 반도체 고급인력을 사실상 수도권에서만 독점적으로 배출하는 악순환 구조로 고착화되고, 이 때문에 심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기업들은 시설 확장·이전 시 대상지역으로 비수도권을 외면하는 악순환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대기업 취업이 보장돼 인기를 끌고 있는 반도체 관련 계약학과가 수도권 중심으로 운영되면서 수도권 집중화 현상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학령인구 감소로 지방대학의 위기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지역 인재 유출은 더욱 심해질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비수도권에서 운영되는 반도체 관련 계약학과는 단 2개뿐으로, 공주대(충남), 한국폴리텍Ⅳ대학 청주캠퍼스(충북)의 ‘재교육형’ 2개가 고작이다.
비수도권에서 운영되는 반도체 관련 계약학과는 단 2개뿐으로, 공주대(충남), 한국폴리텍Ⅳ대학 청주캠퍼스(충북)의 ‘재교육형’ 2개가 고작이다.

올해 반도체학과를 개설한 H대학은 지방에서 괜찮은 학생들이 수도권 대학으로 유출돼 정원미달에 큰 요인으로 작용하는 판국에 교수도 수도권 대학으로 떠나면 지역대학에는 뭐가 남겠느냐고 목청을 높였다.

D대학 총장은 법적으로나, 어떤 면으로나 가능하지는 않지만 지방대에서 수도권 대학으로 교수인력을 빼가지 못하도록 하는 인력유출방지법이라도 제정해달라고 요구하고 싶은 심정이라고 밝혔다.

반면, K대를 비롯한 경북권 대학들은 수도권 정원규제완화를 보고만 있을 수 없다고 판단하고 맞불작전을 하겠다고 밝혔다. 대신, 정부가 지역대학의 반도체 및 첨단학과 발전을 위해 적극적인 재정지원을 요구하겠다는 계획이다.

■ 첨단학과 대학과 연계한 기업현황 

기업과 연계된 반도체학과 및 첨단학과 개설 대학은 서울권 메이저대학으로 한정돼 이른바 '4차산업 대학서열화'가 조장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기업과 연계된 반도체학과 및 첨단학과 개설 대학은 서울권 메이저대학으로 한정돼 이른바 '4차산업 대학서열화'가 조장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전국의 127개 지방대 가운데 이미 100개가 넘는 대학이 공동성명에 참여하는 국회 기자회견을 이달말에 열겠다고 밝힌 상태다. 전북지역 대학총장협의회 소속 10개 대학총장들은 최대한 참여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박맹수 전북지역대학총장협의회 회장(원광대 총장)"지방대 총장들이 제기하는 어떤 상생의 방안이라든지, 대안이 설득력이 있다라고 지지해주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지지기반에 바탕해서 지역대학 죽이기나 다름없는 상황으로 몰아가는 정부 정책에 강력히 반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교육부가 지방대 목소리를 외면하면, 재학생과 졸업생은 물론 지역 정치권까지 함께 공동 대응하겠다고 밝혀 지역대학들의 반발이 어느 정도로 확산될지 교육부는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