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민교협 상임공동의장 선재원 평택대 교수 “현재 교육부로는 사학민주화 요원”
“대학교수, 안정된 직장인으로 남아서는 안 돼” 역할 강조

선재원 신임 민교협 공동의장(평택대 교수)은 "교수들은 낮은 자세로 학생들의 이야기, 사회의 이야기를 듣고, 대화하고, 적합한 시점을 놓치지 말고 학교이든, 종이 위에든, 사회이든간에 크게 외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선재원 신임 민교협 공동의장(평택대 교수)은 "교수들은 낮은 자세로 학생들의 이야기, 사회의 이야기를 듣고, 대화하고, 적합한 시점을 놓치지 말고 학교이든, 종이 위에든, 사회이든간에 크게 외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평택대 사학민주화하다 맺은 민교협 인연

최근 민교협(민주평등사회를 위한 전국교수연구자협의회) 상임공동의장에 선재원 평택대 교수(국제지역학부·전국교수노조 평택대지회장)가 선임됐다. 소감을 묻자 선 의장은 한국사회와 대학민주화에 늦깎이로 참여했다. 오랜 시간 평생에 걸쳐 바른 사회와 교육을 위해 희생한 선배들을 떠올리면, 많은 빚을 지고 산다는 생각이 든다. 정말 열심히 해야 하는 입장이라며 소감보다 각오를 내비쳤다.

선 의장과 민교협과의 인연은 그가 재직하는 평택대의 재단비리가 학교자체감사에서 심각한 상황으로 드러났음에도 후속조치를 실행하지 않자 당시, 민교협 평택대분회장 신분인 선 의장, 평택대교수회, 민교협, 평택대정상화촉구지역대책위원회 등은 교육부청사앞에서 평택대가 처한 현실을 낱낱이 알린 2017년이 시작이다.

40여 년간 조기흥의 왕국처럼 운영됐던 평택대의 감사에서 튀어나온 온갖 비리는 이 곳이 학교라는 교육기관이 맞나하는 착각이 들 정도로 썩은 내가 진동을 했다. 총학생회, 교수회라는 일반화된 대학내 자치기구를 조직하면 불법이 됐던 동토의 땅평택대에서 민주화라는 열매가 맺기에는 힘이 많이 딸렸다.

설립자가 아니면서도 실질적인 설립자 행세를 했던 조기흥 전 총장은 법의 심판으로 물러났어도 오랜 시간 뿌리를 내린 비리·추종세력들의 방해와 담합은 공고했다. 그들에게 선 의장은 눈엣가시였고, 결국 그들은 해직이라는 올가미를 씌여 강단에서 그를 내쫓았다. 당시 교육부가 파견한 임시이사회가 말도 안 되는 해직사유를 주장하는 구 재단 관계자들의 말만 듣고선 그대로 해직을 명령했다.

교육부 파견 임시이사회, 일방 의견듣고 해직

선 의장은 해직되기 전에는 설마’, 그래도 나라 행정부처인 교육부가 파견한 중립적인 임시이사인데 말도 안 되는 이유로 설마, 한 교수를 해직시키겠어?”라고 판단했단다. “그 설마는 저를 매우 쉽게 해직시켰다. 학교의 케케묵은 비리를 끄집어 내 공익제보를 했더니  평택대에 존재하면 안 되는 위험천만한 교수로 조작해놨다.”며 아직도 어처구니 없어 했다.

이후 민교협 등 여러 교수단체, 지역단체, 지역성당 사제할 것 없이 선재원 교수 보복해직 철회와 평택대 민주화를 위한 공동투쟁위원회가 득달같이 꾸려졌다.

선 의장은 제 주변의 분들이 선재원 복직시켜야 한다고 저렇게 몰려들어오는 것을 보고, 많은 생각을 했다. 사회의 민주화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지켜지는지를 생생히 목도했던 순간이다. 재단비리에 대한 후속조치를 촉구할 때도, 해직돼서도, 그 이외에도 민교협 관계자들은 저라는 사람을 많이 아껴줬고, 지켜줬다면서 진 빚을 꼭 갚겠다는 생각이 얼마 전 민교협 상임공동의장 선출을 받아 들이게 됐다는 속내를 말한다.

선 의장은 지난해 8월 해직을 당했지만 교원소청위원회가 부당해고로 판정해 지난 2월 복직 했다.

선 의장은 민교협 상임공동의장이라는 타이틀은 저에게 영광 그 자체다. 오래 전부터 대학사회에서의 민교협을 봤다. 그들에게는 강단에서만이 아닌 실천, 실행에 무게를 두고 활동하는 모습이 남달랐다. 그래서 더 늦기 전에 무거운 역할을 맡게 됐다면서 한편, “사회에서는 교수들을 안정된 직장인으로 바라보고, 65세 정년까지 보장되는 특권마저 가진 신분으로 보는 게 사실이라는 점에 많은 교수들이 고민해야 한다고 제기했다.

교육부가 파견한 임시이사회에서 일방의견만 듣고 지난해 선재원 교수를 해직하자 교수단체, 시만단체들은 보복해직 철회하라는 시위를 펼쳤다. 광화문 평택대 법인 사무실앞에서 교수단체가 시위하는 모습.
교육부가 파견한 임시이사회에서 일방의견만 듣고 지난해 선재원 교수를 해직하자 교수단체, 시만단체들은 보복해직 철회하라는 시위를 펼쳤다. 광화문 평택대 법인 사무실앞에서 교수단체가 시위하는 모습.

교수들, 왜 교수에게 정년보장해주는지 생각해야

이어 선 의장은 교수가 뭐 길래? 교수에게 왜? 안정된 신분, 정년보장이라는 나름 특권을 부여하냐고 반문할 때, ‘프로페서(교수)’ 에서 프로페스의 본 뜻인 외치다의 역할에 좀 더 가깝게 다가갈 수 있고, 더 나아가 무엇을 외칠 것인지, 언제는 꼭 외쳐야만 하는지 등이 자기숙제가 돼 학생과 사회에서 좀 더 낮은 자세, 격식없는, 꾸밈없는 태도가 견지될 때, 강단과 세상에서 제대로 외칠 수 있는 교수가 될 수 있다는 평소 생각해오던 사회, 학교와의 교수역할과 위치에 대해 밝혔다.

선 의장이 한국 대학사회의 문제에 발을 내딛는 계기가 된 평택대 학내 민주화가 절대절명의 순간을 맞고 있다. 우선적으로는 임시이사회 체제에서는 학교를 어떻게 안정화 시킬 것인가, 꼭 매각을 해야하는 것이면 학교구성원들의 의견수렴, 적합한 재정기여자 선택 등 거쳐야 할 중요 현안이 많다. 그러나 밟아야 할 절차를 제대로 밟지 않고, 서둘러 학교 팔기에만 급급해 하는 모습에 많은 학교구성원들은 동의하지 못 할뿐만 아니라 의구심을 갖고 있다

선 의장은 단적인 예로 "평택대에 파견된 임시이사회는 중립적인 위치에서 학교의 중장기발전에 기준해 결정해야 하는 역할임에도 재정기여자 찾는데 오히려 더 혈안이 돼 있다던가,  총장직무대행을 맡아오던 관계자를 그대로 유지하고자 임시이사회가 학교정관을 뜯어 고치는 무리수를 둔다던가, 5천억원이 넘는 자산총액 평택대의 고작 6%에 해당하는 3백억원대 자산총액 기업이 재정기여자로 지명되는 등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 상황이 평택대에서 펼쳐지고 있어도 교육부는  복지부동"이라고 개탄해 한다.  

"평택대에 공익이사 추천, 한국교육 살리는 상징될 것"

선재원 신임 민교협 공동의장은
선재원 신임 민교협 공동의장

선 의장은 사학족벌 복귀에 방관하는 교육부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사후보 절차와 임시이사 편법경영에 대해 감사를 촉구하는 천막단식농성을 시작했다가 공익이사 선임운동 확대가 더 시급하다고 판단해 농성을 접고, 오는 8월 검증 안 된 정식이사를 선임하게 되는 사학분쟁조정위원회가 그대로 열려 재정기여자가 그대로 굳혀지면 오랜 기간 싸워 온 평택대 정상화노력은 결국 졸속으로 막이 내려질 긴박한 상황에 처했다. 평택대 구성원들이 함께 중단을 촉구해야 한다고 다급해 했다.

선 의장은 “2017년 구성원의 천막단식릴레이 농성으로 설립자를 사칭하며 40년 가까이 사학족벌을 꾸려온 조기흥 일가를 축출했다. 조 씨와 그의 자녀들은 실형을 선고받았다. 그렇지만 조 씨의 자녀와 친인척들은 학교의 주인행세를 쉽게 놓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한다. 교육부와 사분위가 진정으로 평택대 정상화를 원한다면 공익이사를 반드시 추천해야 한다. 110년 전 척박한 조선의 땅에 인재를 키워내겠다는 미국인 피어슨 목사의 진정한 바람을 외면하지 말아 달라고 당부했다.

한국사회와 대학민주화에 늦게 참여했기 때문에 오랜 시간 평생에 걸쳐 사회와 교육을 위해 희생한 선배들에게 진 빚을 갚으려면 정말 열심히 해야 한다는 선재원 신임 민교협 상임공동의장. 선 의장의 나이는 현재 한국사회에서 아주 많다고도 할 수 없지만, 그렇다고 적지도 않은 나이다. 그럼에도 그는 며칠 전 단식농성 천막을 쳤다. 사회와 교육을 위해 희생한 선배들에게 마음의 빚을 졌다면 그 빚이 선 의장만의 빚일까 싶다. 선 의장이 졌다는 빚은 결코 혼자서 갚을 수 있는 빚이 아니다.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공동의 채무이기에 함께 변제해야 함이 마땅할지 모른다.    

 대담 : 박병수 편집국장  사진 : 이현신 포토그래퍼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