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윤 교육부차관에 대한 역할론에 의혹의 눈길이 따라붙는다. 교육상임위 윤영덕 의원의 대화에서 답변한 내용이 거짓말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사진은 장상윤 교육부 차관이 23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고교 직업교육 발전방향 토론회'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장상윤 교육부차관에 대한 역할론에 의혹의 눈길이 따라붙는다. 교육상임위 윤영덕 의원의 대화에서 답변한 내용이 거짓말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사진은 장상윤 교육부 차관이 23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고교 직업교육 발전방향 토론회'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U's Line 유스라인 박병수 기자] 장상윤 교육부차관은 24일 국공립대학총장협의회 회장 등을 만난 자리에서 학생정원 유연화와 대학기본역량진단 개편 등 대학 관련 규제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며칠 전에는 정시비율 유지하고, 자사고, 외고 존치 의견 더 듣겠다고 밝힌 바 있다.

최근 장상윤 차관의 발언에는 어떻게’, ‘는 없고 무엇만 있다는 지적이 따라 붙는다. ‘무엇은 대상이라면 어떻게는 방법론이다. ‘무엇에 대해 깊숙이 알지 못하면 어떻게를 꺼내들기 쉽지 않다. "재정지원 늘리겠다", "대학경쟁력 높이겠다". "대학 자율화하겠다". 어떻게 말이다. '왜'라는 단계를 거쳐 어떻게, '어떻게'를 하다보면 시행착오도 나올 수 있다. 예상 못한 변수도 등장할 수 있다. 지금 한국 대학사회는 '무엇'에 대해서는 다 드러나 있다.    

대학가에서는 장 차관이 교육현안 공부를 않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잦다. 타 부처에서 온 차관인데 교육현안을 부지런히 공부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왜 공부를 하지 않을까'에 대한 해석은 장 차관의 역할은 교육현안 해결에 있지 않고, 교육부 구조조정 조정업무가 부여됐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따라 붙는다.

이 부분에 대해 장 차관과 교육상임위 의원들과의 대화에서 윤영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 구조조정 등 부처간 사회조정 업무를 하러왔다는 해석이 있는데..."라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고 잘라 말했다. 윤 의원의 또다른 질의에 "교육부를 대대적으로 조직개편이라든지 하드웨어적인 변화보다는 일의 방식이라든지 기존의 규제, 이런 부분에서 환골탈태하고 변화해야 한다는 요구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일의 방식이라든지 기존의 규제에 변화를 줄 것이라는 장 차관의 답변은 거짓이라는 C대학 K모 관계자가 있다. 거짓말인지, 아닌 지를 떠나서 K모 관계자는 교육부의 대대적으로 조직개편이라든지, 하드웨어적인 변화보다는 일의 방식이라든지 기존의 규제에 변화를 준다는 것은 교육부 업무에 능통한 관계자가 접근할 수 있는 영역이다.

그리고 "환골탈태 변화는 정말 어려운 경지다. 그 조직을 꿰 뚫을 정도가 돼야 하는 수준이 아닌가라며 한 조직이 환골탈태해 변화를 필요해야 할 때는 새롭게 상정된 무엇인가에 도전하거나 완전한 변화가 요구될 때인데도, "대대적인 개편은 없다"는 장 차관의 답변은 거짓말일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그래서 장 차관의 이 같은 대외 행보와 선언성 발언은 장관이 올 때까지라는 이야기가 나돈다. 장관이 오면 정확히 교육부의 대대적인 수술에 돌입할 것이고, 그 때 장 차관은 메스를 들고, 수술용 비닐장갑을 끼고 있을 것이라는고 K모 관계자는 십중팔구 확률이라고 자신한다.

·재정권을 지자체에 위임한다는 윤석열 정부의 계획이 관찰되면 교육부는 대대적인 조직개편이 따를 수 밖에 없다. K모 관계자의 예상이나 추정이 아니더라도 이미 교육부는 대대적인 조직개편이 있을 것이라고 선언한 것과 마찬가지라는 설명이다. 

교육부 내부인물인  K모 씨, S모 씨가 교육부차관으로 천거됐지만 윤석열 정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부처간 사회조정업무를 15년간 해 온 장상윤 국무조정실 조정실장을 신임 교육부차관으로 앉혔다. 내부인물에게 맡기면 사사로운 감정에 휩쓸려 단호한 행정처리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대비한 조치라고 해석한다.   

교육부장관은 지방선거 끝나면 지명자가 바로 발표될 수 있도록 '스탠바이'돼 있다는 후문이다. 다른 부처보다 교육부는 인사(人事) 등 모든 면에서 투명해져야 한다.  교육부의 인사는 교육적이어야 한다. 그래야, 또다시 김인철 사태를 겪지 않을 수 있다.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