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시비중 쏠렸다며 교육부와 협의한 서울소재 대학 주요대상 전망

▲ 학종 국민인식조사(2018년 4월)

[U's Line 유스라인 특별취재팀]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정시비중 확대 의지를 밝히면서 대학과 고교 등 입시관련 현장은 벌써부터 요동이다.

입시 현장에서는 고등교육법에 따라 입학년도 적용은 1년10개월 이전 발표해야 하기 때문에 올해 치르는 2020학년도 대입과 내년 2021학년도 대입은 이미 시행계획이 확정돼 조정이 불가능하다고 내다보고 있다. 따라서 이르면 현재 고등학교 1학년이 시험 볼 2022학년도 대입부터 서울 주요대학을 위주로 정시비중이 40% 이상 확대되지 않겠냐는 전망을 내놨다.

이런 가운데 22일 교육부 한 관계자는 “현재 진행중인 13곳 대학 학생부종합전형 실태조사 결과 및 유관기관 의견수렴을 거쳐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방안을 11월 중 발표할 계획이었는데 정시비중 방안도 함께 밝힐 것”이라고 밝혔다.

정시비중 확대 대상 대학은 서울과 경인권 주요대학에 몰린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예상을 하는데에는 그동안 교육부가 학종 비율의 쏠림이 심각한 서울 소재 일부 대학에 정시 수능위주 전형비율이 확대하도록 협의해왔다는 것.

정시 비중확대도 40% 선이 아니라 50%가 될 수 있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기자회견을 열어 50%를 주장한데다 더불어민주당의 ‘정책통’ S의원, 교육위 P의원도 이에 동조하고 있다. 김병욱 의원은 “교육현장이 학생부종합전형이 추구하는 바를 충분히 받아들일 수 있는 환경이 되기까지는 적어도 수능시험을 통한 선발 비중을 50% 이상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시비중 확대로 교육계는 찬반으로 대립되고 있다. 정시확대를 주장해온 교육바로세우기운동본부의 박소영 대표는 “대통령이 학부모의 정시확대 요구를 귀담아 들어주셔서 감사하다”며 그런데 “내년 ‘총선용 발언이 아니라면 2021 대입부터 바로 정시를 확대하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반면에 전교조는 “지난해 정시비중 30% 사회적 합의를 도출했고, 교육부도 최근 대입 공정성 방향에서 정시확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고 밝혔음에도 대통령이 이를 다시 언급한 것은 행정부의 역할을 무시한 처사”라고 비판했다.

전교조 관계자는 “입학사정관제, 학생부종합 10년동안 정상적인 교육으로 방향을 잡아가는데 정시비중 확대는 다시 공교육 붕괴를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