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 수용량 한계…2009년 대량 폐기, 영남대 2만5천권·계명대 4만5천권 처리

그동안 장서보유량 늘리기에 급급했던 대학도서관이 공간 확보와 이용자 편의를 위해 장서 폐기에 눈을 돌리고 있다.

270만 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는 경북대도서관은 1952년 개관 이래 처음으로 2009년 장서의 대량 폐기 작업을 진행했다. 복본, 파손본, 현실성이 떨어지거나 보존 가치를 상실한 서적, 오래된 교양지, 무협지나판타지 소설 등 3만5천 여 권을 폐기했다.200권 권을 보유하고 있는 영남대도서관도 지난해 2만5천여 권을 폐기했다. 계명대도서관 역시 4만6천여 권을 최근 폐기한 바 있다.

대학도서관이 장서 폐기에 나서고 있는 주된 이유는 서고 수용량이 한계를 넘어섰기 때문이다. 그동안 대학도서관은 도서관 평가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장서보유량을 의식해 경쟁적으로 장서수를 늘렸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장서 폐기에는 소극적으로 대처해 대학 서고마다 책이 넘쳐 나는 실정이다.

경북대도서관의 경우 서고의 적정 수용량은 200만 권이지만 현재 이를 35%나 초과한 270만 권이 소장돼 있다. 게다가 매년 구입하는 8만∼9만여 권의 장서를 수용하려면 해마다 330㎡ 공간이 필요한 실정이다. 유경종 경북대도서관 사서사무관은 “학내 일각에서는 책을 버린다는 것 자체에 대한 거부감이 있을 수 있으나 공간을 늘리는 데는 제약이 있기 때문에 예전과 달리 폐기를 외면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도서관의 양적 성장과 더불어 질적 성장도 이뤄야 할 때라고 지적한다. 정부는 3% 이내였던 각 도서관의 연간 장서 폐기 범위를 2010년부터 7% 이내까지 확대했다. 또한 도서관 평가 항목에서 장서수를 제외해 질적 성장을 유도하고 있다. 윤희윤 대구대 문헌정보학과 교수는 “국민 1인당 장서수가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모자라지만 학술연구중심의 대학도서관 특성상 양적인 마인드를 과감히 탈피해 정보의 속보성과 접근성을 높이는 질적인 성장을 이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장서 폐기 당위성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되는 추세에 맞춰 폐기 서적의 재활용 방안을 마련할 때라는 목소리도 있다. 경북대도서관은 장서 폐기 당시 학생과 주민들을 상대로 폐기 도서전시 행사를 열어 폐지공장으로 갈 서적 3천여 권을 줄였다.

윤 교수는 “선진국 대학에서는 한 달에 한번 정기적으로 폐기한 책을 일반인에게 판매하는 문화가 정착돼 있다”며 “필요한 곳에 책을 바로바로 공급할 수 있는 폐기도서의 다양한 재활용 방안이 시급한 때”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