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 Line 김하늬 기자]현재 대학 전임교원의 30% 이상이 10년내에 정년을 맞아 학교를 떠나게 되지만 대학은 재정부족으로 이에 대한 빈자리를 대비하지 못하고 있다. 연구활동이 축적된 특정연령층의 교원들이 대거 빠져나가면서 대학의 연구활동과 학생들의 학습권이 크게 위협 받을 수 있다는 우려다.

대학교육연구소(소장 박거용)에 따르면 2017년말 전체 대학전임교수가 7만9961명(국·공·사립·전문대 포함)에서 만 55살 이상이 2만8447명(35.5%)인 것으로 조사돼 2007년 1만2058명(17.9%)에서 10년만에 만55세 교원이 2배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난해 50살 미만 교수 비중은 45.4%로 10년 전보다 17.5%포인트나 줄었다. 이유는 고령층 교수들의 ‘적체’가 주원인이다.

2016년 교육통계연구센터에 따르면 4년제 일반대학의 연령별 전임교원수는 △25~29세 201명(0.3%) △30~39세 7805명(11.9%) △40~49세 2만2673명(34.7%) △50~59세 2만5494명(39.0%)△60세 이상 9127명(13.97%) 등으로 집계됐다.

1980년대 이후 교육부가 추진한 대학졸업정원제와 김영삼 정부 시절 대학설립조건만 되면 대학설립 허가를 내줬던 대학설립준칙주의 대학정책으로 증가한 대학교원수가 수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돼 교수 적체의 주원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교수 정년을 65살로 정한 현행 교육공무원법에 기준하면 현재 대학 교수의 3분의 1을 넘는 55살 이상 교수들은 앞으로 10년내에 대학을 떠나야하지만 대학들은 고령층 교수들의 자리를 대신할 ‘신진 교수’ 충원은 현재로서는 어렵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9년째 대학 등록금 동결, 정원감축으로 인한 재정감소, 지방 중소대학들의 정부재정지원 혜택 부족은 대학들이 교수충원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는 주장이다. 현재 상황이 해결되지 않으면 적정 교수충원은 답이 없다고 제기하고 있다.

반면, 재정에서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서울대 공과대학은 지난해 1학기부터 '교원 후보자 탐색위원회' 제도를 도입했다. 기존 교수가 은퇴할 때가 임박해 초빙 공고를 내는 방식에서 벗어나 미리 인재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해 교원을 선발하겠다는 것이다.

기존 교수의 정년퇴임 등으로 공석이 생기기 6개월~1년 전 채용계획을 마련해 안정적으로 교수 인력을 확보한다는 계산이다. 서울대 공대 관계자는 "기존 연구인력을 스카우트하려면 2~3년씩 걸린다. 우수 교수진을 영입하려면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는 게 효율적"이라고 제도설명을 했다.

전남 소재 한 사립대 관계자는 "전임교원 확보율을 유지하면서 몇 년만 임금을 부담하면 되는 50대 후반 교수를 채용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10년 뒤면 교원 수도 줄고 대학 신입생 수도 감소해 어느 정도 균형을 이룰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정년이 얼마 남지 않은 50대 후반 교수를 채용하는 케이스는 기업실무자를 교원으로 임용하는 산학협력중점교수 등인 것으로 조사됐다.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