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방국립대 육성을 위해 전국 20개 거점 국립대의 지역인재 각각 100명씩을 선발해 전액장학금을 제공하고, 졸업 후엔 본인 희망에 따라 교수 채용, 공무원 시험, 취업 지원 등의 혜택을 주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 방안을 놓고 ‘2000명 정예인재’를 위한 정책일 뿐 ‘지방 국립대’를 위한 정책은 아니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지방대는 현재 재학생들의 중도탈락률이 줄어들지 않고, 편입학 선발비율도 크게 밑돌면서 ‘2중고’를 겪고 있는 현실이다. 대학정보공시 사이트인 ‘대학알리미’에 따르면 지역거점 국립대의 중도탈락률은 평균 3%를 상회하고 있다. 강원도의 경우 강원대가 3.8%, 강릉원주대가 4.8%로 비교적 높았다. 다른 지역에서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부산대가 4.1%로 명성에 비해 탈락률이 높았으며 경상대(3.7%), 부경대(3.2%), 충북대,(3.1%), 공주대(3.0%), 전북대(3.0%) 등이 3%대 이상의 중도탈락률을 보이고 있다.

문제는 이들 지방 국립대학들 보다 지방 사립대학들의 중도탈락률이다. 대학마다 큰 편차를 보이고 있지만 국립대의 2배를 웃돈다. 원인은 수도권 대학으로의 편입학이다. 경북지역 사립대 관계자는 “경제적 사정으로 학교를 그만두는 학생도 있지만 대부분의 학생이 편입학을 통해 다른 대학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지방대의 공동화는 경기불황과 취업난이 겹치면서 좀 더 좋은 ‘스펙’을 갖추기 위해 상위권 대학으로 편입하려는 4년제 대학 출신 수험생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방대→서울·수도권 중위권 대학→서울 소재 상위권 대학으로 연쇄 이동하는 ‘악순환의 연결고리’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편입학 모집에서도 지방대학들은 대부분 모집정원을 채우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심지어 올해 편입학선발결과 강원지역의 경우 편입학 충원율은 고작 40%를 약간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대학과는 비교조차 하기 어려운 수치다.

지방사립대 입장에서는 중도탈락률이 높으면 당장 대학 구조조정의 대상이 된다는 것도 고민이다. 중도탈락으로 인해 재학생 충원율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지난 달 한국일보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85%의 고교생이 지방대의 등록금을 절반으로 낮추면 지방 국립대로 진학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했다. 또 90%의 고교생이 공무원, 공기업 채용 시 가산점을 부여할 경우 지방 국립대를 택하겠다고 답했다. 설문조사에서 알 수 있듯, 학생들을 지방 국립대로 유인해 지방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것은 ‘소수의 전액 장학금’과 ‘소수의 취업 보장’이 아니라 ‘낮은 등록금’과 ‘취업 기회 확대’다. 무너지는 지방대의 버팀목이 시급하다. 대학은 교육기관을 떠나 지역경제의 버팀목이기도 하다.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