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본관 앞에서 열린 청소·경비 비정규직 노동자 구조조정에 반대하는 연세대 동문 기자회견에서 참석들은 학교측이 서둘러 청소노동자들의 현안에 해결책임을 갖고 대화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사진 뉴시스>

[U's Line 오소혜 기자]청소노동자 구조조정으로 파업중인 연세대와 동국대의 졸업동문들이 학교측에 열악한 청소노동자들을 대상으로 구조조정을 앞세우는 것은 대학에서 할 일이 아니다라는 지적과 함께 서둘러 청소노동자들과 대화를 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21일 오전 연세대 신촌캠퍼스 본관 앞에서는 “우리는 연세대가 부끄럽습니다”라는 현수막을 든 이 학교 연세대 비정규직 노동자를 지지하는 30여명의 졸업동문들은 “5200억원 적립금을 쌓아두고 저임금 노동자들의 일자리를 더욱 열악하게 만드는 연세대 행태에 졸업생들은 분노를 금할 수 없어 1월16일 570명, 2월14일 268명 동문들이 학교를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했다”며 “학교는 하루빨리 문제해결에 나서야 한다”는 기자회견을 밝혔다.

또한 이들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모교 계획대로 간다면 몇 년 안에 연세대 모든 청소·경비노동자들은 최악의 박봉과 고강도 노동에 시달리게 될 것”이라며 “학교는 영리만을 계산한 계획을 당장 중단하고 청소·경비 노동자들과 서둘러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이익을 위해 사람의 삶을 고통스럽게 만드는 일이 최소한 대학에서만은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고 했다.

한편, 지난 1월16일 ‘연세대 청소경비 노동자 투쟁을 지지하는 졸업생 570명 일동’은 성명서를 통해 “연세대는 ‘교육기관’이라는 명분을 유지하고 싶다면 연세대 재단 ‘돈벌이’에만 맞춰진 작금의 행보를 중단하고, 퇴직인원 31명의 인원충원을 제대로 시행하라”고 촉구했다. 또 2월14일 ‘동문 268명 일동’은 부총장에게 “청소노동자 당사자들과 만나 문제를 서둘러 해결하라”고 촉구했다.

앞서 연세대는 재정 어려움을 이유로 올해 정년퇴직하는 청소·경비노동자 31명 결원을 채우지 않고 3~4시간 단기아르바이트로 대체했다. 청소노동자들은 지난달 16일부터 구조조정 반대 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 동국대 108명 동문들은 21일 부총장에게 드리는 글을 통해 청소노동자의 구조조정은 자비를 베풀 것을 요구하는 동국대의 교훈과도 맞지 않는다며 학교측은 서둘러 사태해결에 나서라고 밝혔다.

또한 21일 동국대 동문 108명도 “약하고 소외된 청소노동자들에 대한 구조조정이 앞서서는 안 된다. 학교는 신뢰를 가지고 소통, 협의해 달라”며 촉구했다.

이 대학 동문들은 21일 호소문을 내고 “언론을 통해 뉴스를 접할 때마다 우려를 금할 길이 없다”면서 “대부분 고령의 청소노동자들의 파업이 설 연휴에도 이어져 가족들과 함께 하지 못하고 차례를 학교 본관에서 지내야만 했다는 뉴스는 저희를 더 가슴 아프게 한다”고 밝혔다.

이어 ‘학령인구가 감소하고 등록금 수입이 제한적이어서 청소노동자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학교측 주장에 대해 “학문의 전당인 대학에서 가장 약하고 소외된 청소노동자가 구조조정의 최우선 대상이 돼서는 안 될 일”이라고 비판했다.

이들 동문들은 “어제(20일)는 모교의 졸업식이었다. 그런데 교내 곳곳에는 졸업 축하 현수막 대신 ‘청소노동자 인원감축에 반대한다’는 현수막이 내걸리고, 행사가 열리는 강당 앞에서는 학교 측 직원과 청소노동자들의 충돌이 빚어지기도 했다”면서 “내일(22일)은 2018년 후배들과 부모님이 학교를 찾는 입학식이다. 내일도 어제와 같은 일이 일어날까봐 심히 걱정된다”고 우려했다.

이들은 “대학은 시대의 지성을 키우는 전당이자 사회적 약자와 연대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공간”이라며 “새로운 교훈인 ‘지혜, 자비, 정진’은 이 취지를 오롯이 담고 있으나 이를 선포한지 채 1년도 되지 않은 상황에서 학교가 보여주는 모습은 동문들을 당혹스럽게 한다. 부디 이번 일을 슬기롭게 해결하여 자랑스러운 민족사학의 모습을 보여줘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앞서 동국대측은 졸업식을 일주일 앞둔 지난 2월 13일, 이관제 대외부총장 명의로 ‘동문들께 드리는 말씀’, 김성훈 교무부총장 명의로 ‘학부형님들께 드리는 말씀’을 각각 발송해 학교측의 주장을 전달해오고 있다. 동국대는 해당 문건에서 청소노동자들의 파업농성을 ‘불법점거’로 규정하며, 재정적 문제로 인해 청소노동자 충원이 어렵다는 주장을 반복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U's Line 본지는 민동준 연세대 행정·대외부총장이 지난 2월 7일 연세대 동문들에게 ‘청소 경비용역 노동자들의 본관 점거사태와 관련해 드리는 말씀’이라는 이메일을 통해 “고용인원 714명의 용역비 지출이 연 226억 원에 이르며 학부 등록금 수익 1,500억여원중 15%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학교에 큰 부담"이라며 정년퇴직으로 자연감소 인원을 충원할 수 없다는 입장을 거듭 강조한 내용을 팩트체크한 결과 사실과 다름을 밝혔다.

문제는 대학은 학부생뿐만 아니라 대학원생에게도 등록금을 받는다는 것이다. 대학 알리미에 따르면, 연세대 2016년 학부 재학생은 19,465명이고, 대학원생은 11,542명이다. 2016년 연세대 대학원생 등록금 수입은 1,192억원이다. 학부생과 대학원생 등록금을 합하면 2,673억원이다. 이렇게 계산하면 대학이 주장하는 15%의 절반을 약간 웃도는 8.5%이다.

따라서 연세대 용역비가 학부생 등록금 수입의 15%라는 주장은 맞지만, 당연히 포함시켜야 할 대학원생 등록금수입을 제외하고 계산했다는 점에서는 엄연히 잘못된 계산인 셈이다. 동문이나 언론이 받아들일 때 15%와 8.5% 차이는 너무 큰 차이기 때문에 학교측이 이를 의도적 왜곡하려 했던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대학수입에는 등록금뿐만 아니라 법인전입금, 기부금, 국고보조금, 기타 수입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그런데도 연세대는 유독 등록금, 그것도 학부생 등록금만을 비교대상으로 삼고 있는 것은 대학측 입장을 관철시키기 위해 대학수입마저 왜곡한 단면이다.

또한 동국대의 경우도 청소노동자들의 과다 인건비로 구조조정을 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동국대 이사회는 최근 상위급수 직원정원은 크게 늘리는 것을 확정해 직원 인건비 추가지출과 중장기적으로 학교경영 큰 부담은 일사천리로 통과시켰다. 최근 정부 최저임금 인상으로 청소노동자들의 정년퇴직 결원을 충원할 수 없다는 논리와는 상충하는 행정을 펼쳤다.

최근 청소노동자 구조조정으로 문제가 일어났던 대학들의 국고보조금은 연세대가 2016년 사립대 중 가장 많은 3천105억원을 받았다. 동국대는 979억원, 단국대는 942억원, 대구대는 622억원, 숭실대는 547억원을 받았다. 청소노동자 문제를 앓았던 대학들의 정부보조금은 모두 수백억원 이상이다.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