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당 1억5000만원 지원, 바이오, 나노 등 다양한 창업 유도

▲ 교육부는 중기부가 선정하는 창업선도대학(40개) 중 5개를 선정해 특화형 창업선도대학으로 키운다. 선도대학은 연구성과가 우수하고 창업지원 의지가 강한 실험실을 3~10개 선정한다. 각 대학당 1억5000만원을 비롯해 총 8억2000만원 예산이 배정됐다.

[U's LIne 박병수 기자]대학 실험실이 보유한 특허·논문 등을 기반으로 한 창업에 적극 지원한다.

6일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양대 백남학술정보관에서 열린 '2017 실험실 일자리 대학생 창업 활성화 토크콘서트'에서 내년에 '특화형 창업선도대학' 5곳을 선발해 지원한다고 밝혔다.

‘실험실 창업’이란 대학이나 정부 출연연구소가 정부의 연구개발(R&D) 지원을 받아 논문·특허 형태로 신기술을 갖게 되면 이를 기반으로 학생과 교원이 창업하는 방식이다. 기술집약형 창업이어서 일반 창업기업에 비해 평균 고용 규모가 3배가량 높다. 창업 5년 생존율(80%) 또한 일반 기업(27%)에 비해 우수하다.

정부는 선정된 대학의 실험실 기술 성숙도(Technology Readiness Level)를 창업에 필요한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기술 완성도 평가 △기술 검증 △연구실 프로토타입 개발 등 후속 R&D를 지원한다. 연구자가 기술개발에 집중하도록 투자유치 등 창업업무 전담 인력도 제공한다.

실험실 소속 대학원생이 창업하면 학생 창업수당을 지급하고 창업과 학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및 졸업제도도 개편한다.

미국 등 선진국의 경우 대학을 중심으로 1990년대부터 실험실 창업이 활성화됐다.

이미 미국 등 선진국의 경우 대학을 중심으로 1990년대 이후 실험실 창업이 활성화 돼 있다. 스탠퍼드 대학교의 경우 졸업생이 창업한 4만개의 기업이 총 500만개의 신규 일자리를 만들어 냈다. 그들이 만들어 내는 경제적 부가가치(약 2.7조 달러)가 프랑스 GDP수준에 이른다. MIT대학은 매년 평균적으로 495개의 연구결과를 발표하며, 이중 21개는 창업으로 이어진다. MIT대학이 소재한 매사추세츠 주에서는 약 100만개의 일자리가 MIT 출신 창업기업으로부터 나왔다.

우리나라 대표적인 연구중심대학인 A대학은 창업팀 중 실험실 창업 비율이 2.3%에 불과하다. 실험실 창업이 전혀 없는 대학이 전체대학의 약80%에 이른다.

정부는 특히 정보통신기술(ICT) 외에 바이오, 나노 등 분야에서 다양한 창업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자세한 선정 방식은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확정한다.

이진규 과기정통부 1차관은 "그간 한국은 아이디어 창업에 집중해 실험실 창업이 상대적으로 저조했다"며 "내년 특화형 창업선도대학을 시작으로 이번 정부 내에 바이오·나노 등 첨단분야 실험실 창업 성공기업 100개를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김영곤 교육부 대학지원관은 "대학과 산업계 등 각계 의견을 수렴해 대학 내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재정적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며 "실전 창업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대학창업펀드 규모도 늘릴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