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 Line 곽다움 기자]최근 국내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5명 중 1명은 실업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도권 대학에서 학위를 취득한 박사 4명 중 1명은 구직활동을 해도 직장을 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사 이래 가장 높은 수치이며, 고학력자도 취업난을 피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2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2017년 국내 신규 박사 학위취득자조사 결과 올해 국내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들 중 미취업자는 22.9%에 달했다.

미취업자의 비율은 첫 조사인 2014년 21.3%에서 2015년 20.3%, 2016년 21.6%를 기록해 조사 이래 올해 가장 높았다. 올해 기준 조사 당시 취업 중인 박사는 43.4%였고, 취업확정은 30.9%였다.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박사도 2.8%에 달했다.

성별로 나눠보면 여성의 미취업률이 남성보다 높았다. 미취업 남성 박사의 비율은 21.2%였지만, 미취업 여성 박사는 25.9%였다. 청년실업 한파는 박사 취업 시장에도 불어닥쳤다. 미취업자의 비중은 나이가 젊을수록 높았다.

30세 미만의 미취업은 35.4%로 전 연령대 가운데 가장 높았다. 이어 30∼34세 32.9%, 35∼39세 26.2%, 40∼44세 14.3%, 45∼49세 11.6%, 50세 이상 12.9%였다.

전공 계열 미취업 비율을 보면 다소 의외의 결과가 나왔다. 자연과 공학계열의 미취업률이 예체능이나 사회계열을 앞질렀다. 이공계열 출신이 취업이 잘 된다는 일반적인 인식과는 다른 결과가 나온 것이다.

가장 미취업자의 비율이 높은 계열은 자연계열로 전체 박사학위 취득자의 29.7%였다. 이어 인문(28.4%), 공학(26.1%), 예술·체육(22.3%), 교육·사범(20.6%), 사회(18.3%), 의약(11.8%) 순이었다. 학위 취득 대학의 소재지별로 보면 수도권 박사가 비수도권 박사보다 취업 형편이 어려웠다. 수도권 박사의 미취업률은 24.1%로, 비수도권 박사 21.5%보다 높았다.

수도권 박사의 구직난은 올해 유난히 두드러졌다. 2015년 20.1%였던 수도권 박사 미취업은 작년 22.5%에서 올해 급격히 증가했다. 취업한 박사의 종사상 지위를 보면 전년과 큰 변화는 없었다. 임금근로자 중 상용직은 66.2%, 임시직은 22.2%, 일용직은 0.8%였다.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주는 7.7%, 자영업자 2.7%, 무급가족종사자는 0.4%였다.

해외로 눈을 돌리는 박사의 비중은 다소 늘어났다. 향후 거주지를 묻는 문항에 한국이 아닌 해외에 거주하겠다는 답변을 한 비율은 13.2%에 달했다. 작년 12.2%보다 다소 늘어났다.

이 조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조사연도 2월과 전년 8월 국내 200여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다. 올해 응답자는 전체 취득자의 약 70% 수준인 9천50명이었다.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